국가지정문화재 보호 위해 산불확산 차단 띠형 벌채 구간 설치
기후위기 대응한 맞춤형 산림방재… “문화유산 지키는 산불방지”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전 드론 사진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전 드론 사진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후 드론 사진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후 드론 사진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후 흑석사 전경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후 흑석사 전경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흑석사

국가문화유산을 산불로부터 지키기 위한 산림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눈길을 끈다.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점복)는 영주시 이산면에 위치한 문화재 보호구역 ‘흑석사’ 일원에 산불 확산을 구조적으로 차단하는 ‘산불방지 안전공간’을 조성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조성사업은 국가지정문화재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과 사찰 내 목조 건축물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실시됐다. 관리소는 흑석사 주변 산림에 띠 모양의 벌채 구간을 만들고, 숲가꾸기를 통해 산불 확산을 방지하는 이격공간을 조성했다.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은 문화재와 시설물을 중심으로 주변 산림의 연료량을 줄여 산불이 구조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 숲 개념이다. 이는 산림에서 시작된 불이 시설물로 번지는 것뿐 아니라, 시설물 내부 화재가 인근 산림으로 확산되는 것도 막을 수 있는 양방향 예방책이다.

영주국유림관리소는 이번 조치를 기후위기 속에서 대형화·고속화되는 산불 양상에 대한 맞춤형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봄 고온·건조한 날씨와 강풍의 영향으로 대형산불이 발생, 천년고찰 고운사의 국가문화유산이 소실되는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김점복 소장은 “산불이 문화재와 사찰까지 위협하는 상황에서 이번 흑석사 주변 안전공간 조성은 중요한 방재 전략”이라며 “문화유산이 산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산림 연접지에서의 논·밭두렁 태우기나 쓰레기 소각은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주의도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영주국유림관리소는 앞으로도 문화유산 주변과 산불 취약지를 중심으로 이격공간 확대, 산림 방화선 정비 등 선제적 산불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