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에서 바이오 혁신까지…K-U시티의 첫 걸음
국제 서밋·연구단지로 도약…초광역 클러스터 조성 박차

경상북도가 지난달 25일 청송 황금사과연구단지에서 ‘AI 역노화연구원’ 현판식을 열고 공식 출범을 알렸다. 이는 K-U시티 프로젝트의 하나로, 청송을 역노화 연구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이날 행사에는 이상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 윤경희 청송군수, 성한기 대구가톨릭대 총장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연구 비전 발표와 연구 성과물 소개, 시설 견학 등을 진행했다.

연구원은 청송 사과의 기능성 성분을 활용한 사과칩·주스·화장품 등 초기 제품을 공개하며 주목을 받았다. 향후에는 사과 껍질·착즙 부산물 등을 신소재로 개발하고, AI를 기반으로 성분 분석과 생명정보 연구를 진행해 바이오 융합 산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는 황금사과연구단지 내에서 임시 운영 중이지만, 2027년까지 120억 원을 투입해 청송읍 덕리에 복합 연구단지를 신축·이전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연구자 정주 공간과 기업 입주 시설을 함께 갖춰 지역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게 된다.

경북도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역노화 연구·산업단지 조성’ 용역을 추진 중이며, 인근 시군(영양, 안동, 의성, 울진, 영덕 등)과 연계한 역노화 연구 벨트 구상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전문 연구기관과 협력, 오는 11월 청송에서 ‘국제 역노화 서밋(2025 International Reverse-Aging Summit)’을 개최해 세계적 연구자들과 교류하며 청송을 글로벌 항노화 연구 거점으로 도약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청송군수는 “청송의 청정 자원과 연구역량을 결합해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겠다”고 말했으며, 이상수 국장은 “AI 역노화연구원은 인구감소와 지역 쇠퇴를 극복할 미래산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