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입법 토론회 열려… 지역신문협회 등 한목소리
독자 선택 통해 고품질 저널리즘·가짜뉴스 근절 가능
지역 언론 지원을 위한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필요성을 두고 국회에서 공론의 장이 열렸다.
지난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에서는 지역 언론 생태계의 위기를 타개할 대안으로 미디어바우처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공주·부여·청양)과 한국지역신문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이학영·전현희·김윤덕·임오경·양문석·이기헌·조계원·손솔 의원과 한국지방신문협회가 함께했다.
행사에는 국민의힘 박정하 의원도 참석해 “지역 미디어의 어려움에 공감하며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미디어바우처는 정부가 시민에게 일정 금액의 바우처를 지급하고, 시민이 원하는 언론사를 선택해 후원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정부광고나 일방적 지원이 아니라 독자가 직접 선택하는 구조로, 언론의 공공성과 독립성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주제 발표를 맡은 이용성 전 한서대 교수(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는 “미디어바우처는 독자가 직접 언론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며, “구독 지원 형태의 공적 제도를 통해 신뢰 기반 저널리즘 구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선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단순 지원이 아닌 콘텐츠 경쟁을 유도해 건강한 미디어 생태계를 조성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병욱 강원일보 미디어총괄본부장은 “독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지역신문들이 더 나은 콘텐츠 생산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며 “현장 언론인들이 실질적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 제도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영호 군포신문 대표(한국지역신문협회 총괄부회장)는 “지역신문은 구독자 급감과 광고 축소로 생존 기로에 있다”며 “미디어바우처는 지역 언론에 생명수 같은 제도”라고 말했다. 이어 “신문사가 독자에게 선택받기 위해선 당연히 양질의 기사를 기획하고, 심층 취재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고품질 저널리즘 실현과 가짜뉴스 근절, 지방분권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법 제정을 세부사항으로 미루지 말고, 원칙적으로 법부터 제정하고 세부는 시행령에서 조율하자”는 입법 우선 주장도 이어졌다.
유병욱 본부장은 “재정과 대상 등 세부 내용은 논의가 길어질 수 있다. 일단 큰 틀에서 법 제정이라는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남궁창성 강원도민일보 미디어실장은 “매체 쏠림 방지, 정부광고 분리, 평가지표 다원화 등도 함께 설계돼야 제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수현 의원은 “미디어바우처 제도가 수도권 중심 언론환경을 바꾸는 마중물이 돼야 한다”며 “국민이 좋은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투명한 뉴스시장 조성을 위해 법 제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권영석 한국지역신문협회 회장은 “이 제도를 통해 독자들이 공적자금으로 언론사를 후원하고, 고품질 저널리즘이 정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이학영 국회부의장을 비롯해 국회의원 6명과 지역신문협회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통한 지역언론의 활로 모색에 뜻을 함께했다.
힌지협 공동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