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 지역 고령화율 50% 넘어…식료품점 없는 행정리 86%
이동장터·전통시장 상인회·주민자치위원회 협력 모델 제안

영주시의회 김화숙 의원(국민의힘, 휴천2·3동)이 9일 열린 제29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농촌지역의 식품 사막 문제를 지적한 뒤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 도입을 강력히 제안했다. 김 의원은 “먹고 사는 문제는 기본적인 인권”이라며 “공공이 나서야 농촌 주민들의 건강권과 먹거리 기본권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제시한 수치는 심각했다. 영주시 9개 면 가운데 7곳은 고령화율이 50%를 넘어섰고, 나머지 2곳도 거의 50%에 이른다. 시 전체 200개 행정리 중 식료품점이 있는 곳은 14%에 불과하다. 나머지 86% 주민들은 다른 리나 읍·면으로 이동해야만 식료품을 구입할 수 있다.

김 의원은 해외 사례도 언급했다. 그는 “세계 경제 1위인 미국도 식품 사막 문제가 심각하고, 일본은 ‘쇼핑 난민’이 800만 명을 넘는다”며 “이커머스 시대라지만 농촌은 배송 제외 지역이 많고, 고령층은 정보 약자라 온라인 쇼핑도 어렵다”고 현실을 꼬집었다.

김 의원은 “운전면허를 반납하는 어르신들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먼 거리 이동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집행부가 이제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실행 방안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김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사업에 영주시가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사업은 식료품을 실은 차량이 마을을 방문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중앙정부가 차량과 기자재를 지원하고 지자체가 운영비를 부담하며 농협이나 사회적경제조직이 함께 참여하는 구조다.

또한 영주 지역 13개 전통시장 상인회가 면 지역 주민들에게 직접 식료품을 공급하는 주체로 나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인회는 식료품 유통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권역별 역할을 나눠 운영한다면 영주만의 독창적인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지역 실정을 가장 잘 아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사업을 주도하거나 농협, 상인회와 연계해 추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제시했다. 김 의원은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면 지속성과 성공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계적인 수요조사와 시범사업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식료품 꾸러미 배달이나 마을회관·경로당을 거점으로 한 공급 방식도 함께 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마을 구판장이 사라지고, 만물 장수마저 끊긴 지금 농촌 어르신들은 신선한 먹거리를 접하기가 어렵다”며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는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주민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정책”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발언을 마무리하며 김 의원은 “농촌에 계신 어르신들이 신선한 먹거리를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영주시만의 독창적인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 모델을 조속히 발굴해 달라”며 “이 서비스가 농촌에 오아시스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