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함 내밀며 방역복·장비 요구…공문서도 위조
영주시 “전화·문자만으로 고액거래 없다” 강조
“시청에서 나왔습니다.”
공무원 명함을 내밀며 블라인드 견적을 요청한 남자. 시민을 안심시키려는 듯 친절한 말투였지만, 정작 그의 손엔 가짜 명함과 위조된 공문이 들려 있었다. 최근 영주에서 실제 발생한 사기 사건이다.
영주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명함을 들이밀고 물품 견적을 요구하거나, 방역복 수백 벌을 구매하겠다는 공문서를 보내는 식이다.
영주시는 최근 관내 블라인드 업체와 농약 종묘사를 상대로 한 사기 시도가 발생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 9일 한 남성이 시청 공무원 명함을 소지한 채 블라인드 업체를 찾아가 견적서를 요구하며 거래를 시도했다. 하루 뒤인 10일에는 농약 종묘사에 방역복 400벌을 구매하겠다는 공문이 도착했다. 그러나 문서에 적힌 거래 방식이 수상해 업체가 방역복 납품 업체와 영주시청에 사실 여부를 확인했고, 사기 시도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시 관계자는 “공문서에 개인 휴대전화 번호가 기재돼 있었다”며 “시는 공문 없이 전화나 문자로 고액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없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사례가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공공기관 사칭 수법과 유사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군포시, 수원시, 화성시 등지에서도 공무원을 사칭해 관용차나 농업용 기자재를 구매하겠다는 공문서 사기가 발생했다.
시는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SNS와 시청 홈페이지를 통해 예방 홍보에 나섰다. 또 지역 업체에 ‘시청 대표전화로 사실을 꼭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장해진 시청 총무과장은 “영주시청뿐 아니라 영주소방서, 울진소방서 명의를 도용한 장비 구매 사기도 있었다”며 “캐노피, 방열복, 특수장갑 등 특정 장비를 언급하며 거래를 요구하는 전화나 공문을 받을 경우 반드시 시청에 문의해 달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시에 접수된 사칭 피해는 금전적 손해로 이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시는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어 유사 사건 재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수사기관과 협조해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피해 방지 홍보도 강화한다.
공무원 명의를 사칭해 벌어지는 이 같은 범죄는 행정기관에 대한 시민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다. 시는 “지역업체가 사전에 유의하고 의심되는 사례는 즉시 신고해 달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