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핵심공약에 158개 사업 담아…권역별 맞춤전략 반영
1번 공약 ‘산불 복구와 혁신 재창조’…균형발전 중심에 22개 시군 특화사업 포함

경북도가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152조 원 규모의 지역공약을 공식 발표했다.

도는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 주재로 기자회견을 열고 10대 공약, 37개 프로젝트, 158개 사업을 포함한 경북지역 대선 공약안을 공개했다.

공약안에 따르면 1번 공약은 지난 3월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와 ‘혁신적 재창조’다. 도는 “산불특별법이 국회에 계류 중인 상황에서 피해지역 재건과 경제 회복을 위해 입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는 산업·에너지·관광·산림·복지 등 10개 분야에서 전략사업을 제시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는 ▲7대 전략산업 메가 프로젝트 ▲에너지 수도 건설 ▲한류문화관광 허브 구축 ▲산림관광·하천 개발 등을 들었다.

또 농수산업 구조 전환, 저출생 대응, 의료사각지대 해소, 초광역 도로·철도망 확충, APEC 이후 국제도시 도약 등도 공약에 담았다.

김 부지사는 “158개 세부사업은 권역별 특성과 시군 현장 요구를 반영해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며 “22개 시군의 특화 핵심사업을 균형 있게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도가 이번에 제시한 전체 사업비는 152조 원이다. 도는 민선8기 들어 다변화한 산업 기반을 중심으로 반도체, AI, 방산, 미래 모빌리티, 이차전지 등 7대 전략산업을 고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환동해권에서는 울진 원자력산업단지와 포항 수소특화단지를 연결해 수소 에너지 고속도로 조성에 나선다. 문화 분야에서는 한글·한복·한옥 등 전통 자원을 기반으로 K콘텐츠 세계화를 추진한다.

산림이 70% 이상인 지역 특성에 맞춰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은 산림 힐링벨트로 탈바꿈하고, 낙동강과 금호강, 형산강을 정비해 관광지로 개발한다.

농업은 스마트 복합물류기지와 양식산업 전환을 통한 고소득 구조 개편에 중점을 뒀다. 저출생 해법으로는 국가 의과대학 설립과 아이돌봄 클러스터 조성 등도 담겼다.

이번 지역공약은 차기 대통령 후보와 정부가 채택하고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도는 이를 위해 국회·중앙부처·정당을 상대로 전략적인 정책 건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 부지사는 “단순 나열형이 아니라 경북의 미래 도약과 국민 행복을 위한 설계”라며 “차기 정부와 협력해 최대한 많은 사업이 현실화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