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댐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포함된 댐으로 2009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됐지만, 온갖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2023년 8월 22일에 환경부가 영주댐 준공을 최종적으로 승인했다. 영주댐 건설의 주된 목적은 낙동강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하천 유지용수 확보, 이상 기후에 대비한 홍수 피해 경감 등에 있다. 그런데 영주댐은 건설되자마자 곤란에 빠졌다. 2017년 시범 담수가 시행된 직후 영주댐과 댐 상류 내성천에 극심한 유해 녹조가 번성한 것이다. 수질을 개선하기는커녕 오히려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고 생태계가 심각한 수준으로 훼손된 것이다.
한편 영주댐과 관련해 서울대 환경대학원 등에 소속된 연구진들이 2022년 8월에 영주댐의 사후 경제성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과연 영주댐을 건설하는 것이 필요한 일인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2017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 영주댐 관련 총비용 대비 편익은 고작 0.036에 불과하다. 쉽게 이해하면 1천 원을 투자해서 실제로 얻게 되는 이익은 고작 36원어치에 불과하다는 말이다. 그러니 영주댐 무용론이 틀렸다고 단정 지을 수도 없다.
여름철에 어느 호수나 저수지에 녹조가 발생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그런데 영주댐 상류 지역인 내성천 유역 인근에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축사와 과수원, 농경지 등이 많이 분포돼 있어 가축분과 퇴비, 비료 성분 등이 포함된 오염물질 등이 하천으로 쓸려 내려오기 때문에 녹조 현상이 더욱더 심각하다. 더구나 올해는 이상 기온으로 인해 수온이 36℃까지 올라가면서 녹조 현상이 극에 달하고 있다. 남조류의 세포 수가 100만 셀(cell)을 넘기면 조류 경보제 ‘대발생’을 선포하는데 영주댐의 경우는 무려 2배에 가까운 190만 셀을 기록했으니, 위기의식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이 때문에 환경 단체는 영주댐의 녹조가 정말 심각해 냄새는 말할 것도 없고, 녹조의 독성이 공기 중에 퍼져 있어 주민들을 대피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영주댐을 해체하는 것만이 능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런데도 영주시는 영주댐 준공에 따라 댐 주변 지역을 치수 시설 외에 대규모 관광단지로 개발하겠다는 꿈에 부풀어 있다. 영주댐 수변 생태 자원화 단지와 영주댐 레포츠 시설을 조성하고 스포츠 복합센터, 영주댐 어드벤처 공간, 수상 레포츠 시설 등 체험형 관광시설을 확충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녹조 현상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지 않는다면 영주댐 주변을 명품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은 뜬구름 잡는 이야기에 불과하다.
앞으로 지구 온난화 현상은 가속화될 것이기 때문에 녹조 현상의 주범인 수온이 높아지는 것을 인간의 힘으로는 막을 수 없다. 또 내성천 주변의 축사나 농사 등으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온갖 오염물질을 막기 위해서 농가의 소득원을 강제적으로 봉쇄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지난 4월 30일에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부석면에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해 녹조 현상을 예방하겠다고 하고 또 녹조가 발생한 곳에 대해서 녹조를 제거하고 취수·정수 관리를 위해 ‘녹조 제거선’을 확대 배치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도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해지고 있는 녹조 현상을 막기란 역부족이다.
그렇다고 해서 영주댐이 가져오는 편익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장차 닥칠 물 부족 현상을 미리 대비할 수 있고, 수리 시설을 통해 하천이나 호수 등의 범람이나 가뭄의 피해를 막는 치수(治水) 사업이 곧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 영주댐 녹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과 과학적 해결책이 분명히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국가적 차원에서 계획된 치수 사업이 허사가 되지 않도록 시민들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마인드가 요구된다. 함께 관심을 가지고 지혜를 모을 때 헤쳐 나갈 길이 보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