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미 시인
고드름
-남연우
호수를 건너는 다리 난간에
위험한 시도가 매달렸다
뛰어내릴까
말까
밤새 고민한 흔적을 말해주듯
신발을 벗어 놓은
발부리 끝이 뾰족하다
방울 방울지는
투명한 펜촉으로 써 내려간
유서를
자필서명, 햇살이 받아적는다
쨍한 서릿발 눈빛
송곳으로 후빈 아픔
용서해달라
뛰어내린 그 자리에
마르지 않은 눈물이 떨어진다
혼탁한 생의 한복판
급소를 찌른
얼음칼,
고름이 튀었다
-서늘한 생존
‘수정 고드름 따다가 각시방 영창에 달아’놓을 정도로 여렸던 감성이, “뛰어내릴까/ 말까”하는 “위험한 시도”로 보일 만큼 많이도 변했어요. 시선도, 정서도요. 살아보겠다고 누려보겠다고 이를 악물고 견뎌온 세월에 치여 삭막한 마음이 돼 버린 걸까요? 처마 밑에 정겹게 달렸던 고드름이 다리 난간으로 옮긴 건 다 이유가 있겠지요.
“혼탁한 생의 한복판”에서 뛰어내리거나 녹아내리거나 사라지는 건 마찬가지지만, 핏물보다 아픈 투명이 아슬한 생존처럼 도도합니다. “급소를 찌”를 “얼음칼”은 단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어, “고름이 튀”는 상상만으로 비명에서 깨어납니다. 그전에 녹아 버리던가요.
날카로움과 유연함 사이, 흑암과 투명 사이에도 틈새를 메울 겨를과 질서는 있습니다. 이 시에 장착된 은유적 변신처럼, “햇살이 받아 적”은 내 이름 석 자를 위하여 한 번 더 견뎌냅니다. 한파 두서넛만 지나면 따스할 봄도 멀지 않았다는 걸 알고 있으니까요.
영주시민신문
okh7303@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