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인구가 1천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얼추 한집 건너 한집 꼴에 해당하는 수치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유야 저마다 다를 것이다. 이를테면 개의 경우 충직성, 고양이 같으면 매혹적인 자태, 때로는 이들을 의지처나 친구삼아 키운다. 어떻게 보면 인간이 인간에게서는 얻지 못하는 부분들을 대신 이들이 채워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반려동물은 어느 사이엔가 인간 사회에 종(種) 간의 경계를 허물고 우리의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
그럼에도 반려동물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여전히 후진적이다. 비록 일각이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엔 개 식용 문화가 잔존한다. 또한 제도적 장치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에 대한 학대 역시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여름 휴가철이면 엄청난 수의 반려동물이 길 위에 버려진다는 사실은 이젠 누구나 아는 상식이 되어버렸다. 또한 적지 않은 요식‧숙박업소가 여전히 반려동물의 출입을 제한하는 노 펫 존(No pet zone)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화숙 시의원(국민의힘 휴천2,3동)은 지난 18일 영주시의회 정례회 시정 질문을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체계적 보호 관리를 위한 시의 효율적인 정책을 주문해서 눈길을 끌었다.
답변에 나선 박남서 시장은 질의자의 취지를 공감하면서 행정상 기존에 소홀시 했던 반려동물의 등록 문제에서부터 기존 동물보호센터의 개선과 유기동물의 중성화와 입양비 지원 등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시장의 발언이 반려인들의 눈높이에 못 미치고, 아울러 그 검토가 어느 선까지 시책으로 이어질지는 예단하기 쉽지 않지만 고무적인 일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반려동물에 대한 문제는 제도와 문화, 시민들의 가치관이나 이해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힌 일이라서 호불호에 따라 그 해법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럼에도 시의 반려동물 관련 시책 수립 시 기본적으로 고려할 점 두 가지 정도를 제안해본다.
먼저 반려동물의 생명 역시 인간의 존엄성에 준하는 생각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생명체에 대한 존중 없는 반려동물의 복지 따윈 있을 리가 없다. 또한 반려동물에 대한 복지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민의 삶의 질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둘째 인간의 변심에 따라 반려동물의 입양과 파양이 손쉽게 이루어진다는 현실에서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물론 여기엔 시민들의 반려동물에 대한 의식의 전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구라는 행성은 인간의 부동산이 아니다. 수많은 생명체가 함께 살아가는 공간이다. 생태계는 다양해질수록 풍족해진다. 이런 관점에서 영주시의 혜안 있는 반려동물 시책을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