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이 다가오는 가운데 우리 고장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선거구의 재획정은 대체로 이번처럼 선거구의 법정 선거인수(하한선 미달)의 문제가 생길 때 헤쳐모여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번 선거구 획정안 역시 경북도내 공항 건설과 관련하여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에 따른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이 안에 따르면 기존의 선거구 영주시‧봉화군‧울진군이 영주시‧봉화군‧영양군으로 조정되고, 우리 선거구였던 울진군은 영덕군‧ 청송군‧ 의성군 권역으로 재편된다.

한편 이번 선거구 획정안을 두고 현역 의원과 신규 출마를 준비중인 측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먼저 울진군에 연고를 둔 박형수 의원은 영주시와 분할 예정인 울진군 중에 한 곳을 선택해야하는 딜레마에 처했다.

반면 현역의원을 상대로 힘겨운 싸움이 예상됐던 도전자들은 박 의원의 지역구 선택과는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만일 박 의원이 영주시를 선택할 경우 박의원의 중요 지지기반인 울진군의 표를 잃게 되고, 그 반대일 경우엔 영주시는 무주공산이 되기 때문이다. 바둑으로 비유하자면 도전자들의 입장에서는 일종의 꽃놀이패를 쥐게 된 셈이다.

출마대상자들의 물밑 셈법과는 별도로 이번 선거구의 획정 내용을 뜯어보면 선거구 재획정이 법정 선거인수 문제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응급조치였다고는 하나 궁색한 것도 사실이다.

다른 것은 몰라도 선거구 주민들의 생활권역이나 선거구들 지역 간의 상호관련성 같은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안중에 없이 지리적인 연접성만으로 묶어놓았음을 볼 수가 있다. 지역마다 갖는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선거구 획정이라면 솔직히 현행의 소선거구제 대신에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하는 방안도 생각해봐야한다. 실제로 선거구제가 중대선거제로 바뀌게 된다면 선거구가 지금보다 광역화야 되겠지만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물리적인 접근성이 크게 문제 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선거구를 설정하는데 있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금의 소선구제로 인한 폐해 (사표의 발생과 지역 패권주의 정당의 고착)를 줄여나갈 강점이 있다.

특히 기존 양당제를 와해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민의의 다양성도 확보가 가능해진다. 우리가 사는 지구촌의 자연환경이 그렇듯이 정치 생태계 역시 시민들의 다양한 견해를 수렴할 수 있어야 비로소 건강이 담보되기 때문이다.

물론 선거가 100여일 남짓 남겨둔 상황에서 선거구제 개편을 논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무엇보다 기득권을 가진 정치 집단들의 셈법에도 맞지 않아 시기상조의 느낌도 든다.

그럼에도 선거구제의 개편 문제는 보다 나은 지역사회를 만들고 우리의 미래를 견인할 청년 세대에게는 반드시 고려할 수밖에 없는 카드가 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