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영주시가 예산 1조원시대를 열었다. 집행부가 시의회에 제출한 예산안에 따르면 24년도 본예산이 1조650억 원이라 한다. 일반회계 9천684억원, 특별회계 966억 원이다. 약간의 변수는 있다. 세수 감소에 따라 시 예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지방교부세가 11% 내외 줄어들 전망이다. 따라서 일부 사업의 차질도 우려되긴 한다.

지난 11월 22일 새해 예산안 관련 박남서 시장의 시정연설을 살펴보면 그중에 단연 눈에 띄는 사업은 역시 첨단베어링 국가산단 조성이다. 영주 미래의 먹거리라는 이름에 걸맞는 320억원의 예산이 책정되었다. 내년 상반기 착공이 이루어지면 토지보상을 시작으로 단지 기반조성 등 계획된 후속 절차를 차례로 밟아 간다는 계획이다. 국가산단 사업은 적어도 아직까지는 순항중이라 외견상 별 문제는 없어 보인다.

시민의 기대와 주목을 받는 사업이 다른 사업도 하나 있다. 영주댐 관련 사업이다. 실제로 지난 9월 영주댐이 준공되면서 댐 주변 개발에 탄력도 붙고 있다. 얼마 전 영주댐 수변 생태자원단지 조성사업이 확정되면서 댐 주변의 탐방로와 수변 체험공간 조성이 목전에 있다. 총 사업비 180억 원 중 도비 105억 원은 이미 확보된 상태이고 내년 중 착공이 유력하다.

물론 이 사업은 댐 관련 사업의 첫 단추에 불과하다. 지금은 수사(修辭)에 불과하지만 여기엔 1조원 규모의 예산을 연차적으로 투입하여 국내 최고의 복합관광휴양단지를 만들겠다는 큰 그림이 숨어있다.

그동안 코로나와 폭우피해 등의 어두운 터널을 빠져 나온 민선8기의 정책적 비전 일부에는 복병이 숨어 있다. 먼저 국가산단의 경우 사업의 성패는 전적으로 관련 기업의 원활한 유치에 달렸다. 물론 계획을 세우고 단지를 승인받는 일련의 지난한 과정들도 중요하다. 그러나 기업 유치의 비중을 보자면 용역을 주거나 단순히 예산을 집행하는 일은 거의 땅 집고 헤엄치는 격이다. 그만큼 기업을 우리고장으로 모셔오는 일이 어려운 것이다.

그럼에도 무슨 이유에서인지 시가 기업유치에 공을 들이는 모습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아직은 시간이 널널하다는 뜻일까? 만일 그렇다면 그 자신감은 어디서 오는지 궁금하고 우려도 된다.

둘째, 영주댐 관련 사업들에 대한 안일함이다

시중에 거론되고 있는 사업의 면모 (수변공원, 데크로드, 짚라인, 수상스키 등)를 보면 하나같이 이미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시설들이다. 다시말해 영주만의 콘텐츠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시는 체류형 관광을 운운하면서도 KTX가 개통되어 서울과의 거리가 1시간대로 좁혀져 관광이 활성화가 된다는 이율배반적인 발언도 서슴치 않는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람들이 체류하는 까닭은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이다. 관광의 콘텐츠에 비하면 접근성은 어쩌면 부차적인 사안이다. 진부한 애기겠지만 콘텐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아무튼 국가 산단과 영주댐 관련 사업은 영주의 미래를 양어깨에 짊어지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만 경제 시장을 자임해 온 박시장의 리더쉽이 얼마만큼 발휘될지는 지켜볼 대목이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