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복 (소백산백년숲 사회적협동조합 이사)
영주시 이산면 두월리에는 덕골이라는 마을이 있다. 용상리 배해에도 덕골이 있다. 또, 영주댐에 수몰된 평은면 내매에도 덕골이 있었다. “덕골”이라는 말은 “언덕”이나 “강둑”의 “덕”과 “둑”처럼 높은 땅을 뜻하고 “닥”에서 온 말이다. 높은 곳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상고시대에 高(고)자는 “ᄀᆞᄅᆞ”로 읽었다. 이것이 “ᄃᆞᄅᆞ”로 변천하였고 달, 닥, 단, 당, 닫, 다, 답, 담 등으로 음이 부전되어 다양한 어휘가 파생되었다. 충북 단양군에는 “다락뫼”가 있는데 한자로 옮겨 적어 월악산(月岳山)이 되었다. 다락뫼를 응집해서 발음하면 ‘달악뫼’다. 月의 훈 ‘달’과 岳의 음 ‘악’을 취해 월악산(月岳山)이라 쓴 것이다.
삼가리 등산로를 따라 국망봉을 향해 소백산을 오르다 보면 삼막사를 지나 비탈진 밭이 나타난다. 달밭골이다. 인터넷 지도에서 검색하면 큰 산마다 “달밭골”이 보인다. 모두 달(月)과는 상관없이 ‘높은 데 있는 밭’이라는 의미다.
중국사서 수서 백제전에서 “백제(百濟)는 백가제해(百家濟海)를 줄여서 쓴 국명”이라 했다. 또 삼국사기에서는 “시조 온조(溫祖)가 처음 남쪽으로 내려올 때 오간(烏干)·마려(馬黎) 등 열 사람의 신하가 따라왔다 하여 국호를 십제(十濟)라고 하였다가, 뒤에 백성들이 즐겁게 따랐다고 하여 백제라 하였다”고 했다. 정말 그랬을까? 백제인들이 자신들의 나라를 어떻게 불렀을지 짐작하게 하는 연구가 있어 소개한다.
최규성 작가는 『국명풀이 백제』에서 - 백제의 제(濟)는 “건너다”로 풀지만 “ᄃᆞᆯ/ᄃᆞᆨ/ᄃᆞᆷ/ᄃᆞ리”를 표기하는데도 쓰였다. 탐라(耽羅), 탁라(乇羅)를 제주(濟州)로 표기했다. 인천의 제물포는 “다물들“이라 했는데 제물량(濟物梁)으로 적었다. 백제의 국명에서 濟는 ”닮“, ”담“으로 발음했을 것이다. ”닮“은 높고 넓은 땅, 또는 큰 읍성을 뜻한다. 단독 표기하면 담로(擔魯)가 된다.
숫자 백(百)의 우리말은 ‘ᄋᆞᆫ’이다. 그러니까 백제는 ”ᄋᆞᆫ닮”이나 “ᄋᆞᆫ담”으로 불렀을 것이다. 십제(十濟)의 十은 우리말 고어로 “덕”이다. 十濟는 “덕담“으로 읽혔다. 이를 竹潭(듁담)으로 표기할 수 있는데 황해도 연백군에 죽담성(竹潭城)이 있었다. 또, 큰닮(큰-닮)이라는 의미로 巨濟(거제)로 쓸 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백제를 くだら(쿠다라)라 했는데 巨濟를 읽은 ”큰-닮“에서 왔을 것이다.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천담리에 구담(龜潭)마을이 있는데, 안다물(雁潭物)이라고도 한다. “구다물”은 巨濟를 달리 쓴 것이고 “안다물”은 ᄋᆞᆫ닮을 음차한 것이다.- 라고 하였다. 나는 十濟도 “ᄋᆞᆫ닮”으로 읽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돌궐족의 후예인 튀르키에어로 열(十)은 “온”으로 발음된다. “ᄋᆞᆫ”의 훈으로 부여계인 귀족들의 입장에서 十을, 백성들의 관점에서 百을 썼을 것으로 생각한다.
백제의 지배계층은 부여계통으로 일반 백성들과는 언어가 같지 않았다. “왕의 성姓은 부여씨夫餘氏로 ‘어라하於羅瑕’라 칭하며, 백성들은 ‘건길지鞬吉支’라 부르니 이는 중국 말로 모두 왕이라는 뜻이다.”라고 주서(周書) 이역열전(異域列傳) 백제(白濟)편에 기록하고 있다.
정리하면, 백제인들은 자신들의 나라를 ᄋᆞᆫ닮(百濟, 十濟)과 큰닮(巨濟, 구담龜潭, くだら)으로 부르고 썼다. 조선의 옛 땅 대방(帶方)에서 일어나 한반도 서남부에 자리 잡고 황해와 동남아시아, 일본열도를 아우르는 22개 담로(湛露)를 거느린 해상네트워크 제국이었다. 남한강단사학자들은 얄팍한 식민사학의 껍데기에 갇혀 깨고 나오려 하지 않는다.
중국의 사서가 기록하고 있고, 삼국사기에도 분명히 기록된 대륙의 역사를 믿을 수 없다며 그들은 읽지 않는다. 다행히 고대 우리말의 어원과 표기법이 밝혀지기 시작했다. 상(商)나라 시기의 갑골음과 고대 한국어를 한자로 기록한 원리가 풀리기 시작한 것이다.
“天山卽祁連山(천산즉기련산), 一名雪山(일명설산) ; 천산은 기련산인데, 일명 설산이라 한다”고 후한서 명제기 주석에 쓰고 있으나 갑골음을 모르고는 그 의미를 알 수 없다. 현대의 지명으로는 각기 다른 산인데 같다고 한 것이다. 갑골음으로 재구해 보면, 天(천)의 음이 ‘가마라’였는데 그음이 변하자 祁連(기련)을 써서 ‘가마라’를 겹쳐 적기 했고, 雪(설)자의 음이 ‘가마라’이므로 셋이 모두 같다고 한 것이다. 모두 고대 한국어이다.
갑골음이 밝혀지며 논쟁 중인 인명, 지명, 국명 등이 어떻게 변천했는지 밝혀지게 되었다. 중원 고토에 산재한 조상들의 시원 문명의 자취도, 일본열도를 채우고 있는 ‘가사라’의 역사도 모두 밝게 밝혀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