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이지만 공식적으론 지금까지 댐이라 지칭하지 못했던 영주댐의 준공이 곧 이루어질 전망이다. 주지하다시피 영주 다목적댐은 2009년 사업을 착수해 2016년 댐이 조성됐지만, 준공이 지연되면서 댐과 관련한 각종 개발사업이 지연되는 등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했다. 특히 7년 동안 댐을 사이에 두고 댐과 관련된 관계기관 사이의 갈등이 불거지고, 댐의 안정성과 수질 환경 문제가 의심받는 등 시민들의 갈등과 불안감을 자아냈다.

그러나 지난 9일 열린 국민권익위의 영주댐 관련 고충 민원 현장회의에서 영주댐발전협의회 강성국 위원장과 박형수 국회의원, 김홍일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박남서 영주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영주댐 준공·조정 협의서에 서명함으로서 영주댐의 준공은 기정사실화(旣定事實化)가 됐다. 일간에 댐이 준공된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시민들의 반응은 무척 호의적이다. 뒤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그동안 애를 태운 보람(?)이 있었던 모양이다.

이에 따라 댐 준공 지연으로 발이 묶여 있던 영주댐 주변 개발사업들이 본궤도(本軌道)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레포츠 시설(스카이글라이더, 패러글라이딩, 사이클, 암벽등반 등)과 수생태 국가정원 조성, 수변관광 생태자원화 개발 등 관광 관련 사업이 대거 포진돼 있다. 이들 사업이 순조롭게만 진행된다면 시의 관광 지형을 크게 바꾸어 놓는 것은 물론이고 침체된 우리 시 관광 활성화에도 상당히 기여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댐 미준공으로 인해 제약을 받았던 이산, 평은, 문수면 지역의 취수탑과 송배수로 설치, 소규모 용수 개발사업과 국도 대체 우회도로 건설 사업을 통해 댐 주변 시민들의 생활편익도 향상되게 됐다. 이들 댐 관련 사업은 지역균형발전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시 남부권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나아가서는 시 전반에 걸쳐 적지 않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낼 것이다.

그간 영주시와 국회의원은 국무총리실과 환경부, 경상북도지사 등 관계기관을 수시로 방문해 영주시민들의 불편과 건의를 하면서 지속적으로 준공을 앞당겨 줄 것을 건의해왔다.

영주댐 발전협의회와 더불어 국민권익위원회에 영주 다목적댐 준공 요청 민원을 제기한 바 있으며, 지난 2월 21일 국민권익위의 현장 방문 시 400여 시민들과 함께 댐 준공을 위한 궐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영주시민의 의사를 적극 표출해왔다. 두말 할 것 없이 영주댐 준공은 영주시와 10만 시민들의 노력의 열매라고 생각된다.

박남서 시장도 영주댐 준공 이후 수변 자원을 활용한 개발사업을 추진해 영주를 불빛이 꺼지지 않는 관광도시로 탈바꿈시키겠다고 공언했듯이 시의 치밀한 사업 구성과 추진을 통해 그 바람이 조속한 시일에 현실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