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몇 년간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배달과 택배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시민들은 집안에서 편안하게 음식이나 필요한 물품을 주문하여 공급받게 되고 이와 관련한 업체들도 급성장하는 추세이다.
다만 이로 인해 주차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좋은데다가 기동성까지 갖춘 오토바이가 거리를 활개 치고 있다. 여기까지는 괜찮다. 문제는 오토바이가 증가하면서 일부 오토바이로 인해 파생되는 시민들의 불편이다. 그것도 도를 넘었다는 뜻이다.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오토바이들이 시민들의 일상을 위협하고 망가트리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
먼저 소음의 문제다.
주택 밀집지역에서 오토바이가 잔뜩 허세(?)를 부리며 질주하면서 발생하는 굉음 말이다. 그 소리는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특히 심야에는 스트레스를 받을 수준이다. 휴식을 방해하는 소음들로 인해 시민들이 고통 받고 있는 것이다. 경험자에 따르면 아파트의 어지간한 층간 소음은 오히려 애교로 봐 줄 정도라고 한다.
두 번째는 난폭 운전이다. 운전하는 시민이라면 한두 번은 오토바이 때문에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과속이라든가 차선을 함부로 넘나드는 것은 보통이고 갑작스런 끼어들기, 혹은 아예 신호등을 무시해버린다. 그래서 상당수의 운전자들은 주행 시 오토바이가 접근해오면 바짝 긴장을 하게 되어 있다. 이쯤 되면 오토바이는 차량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사회적 흉기(?)처럼 보인다.
이러한 도심 속 난폭 오토바이가 이대로도 좋을까?
얼추 두 갈래의 해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는 관련 행정관서가 나서 오토바이 사용자들에 대한 행정지도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도나 계도를 통해 개선되지 않을 경우엔 이들에 대한 경각심을 주기 위해 일정기간 단속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물론 이렇게 항변하는 시민들도 있을 것이다. 모든 바이커biker들을 잠재적 범법자로 취급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꼭 그렇지는 않다. 문제를 일으키는 부분을 해결하고, 아울러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해 질서있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일 뿐이다. 다만 이러한 물리적 방법이 최선책은 아님을 밝혀둔다.
다른 하나는 관련 업체의 종사자나 오토바이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자정自淨적인 노력이다. 가장 이상적인 해법이지만 그만큼 실현 가능성은 낮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지난 역사를 보면 난관에 봉착할 때 마다 인류는 협동을 통해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왔던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사회라는 공동체가 알아서 잘 굴러간다면 전술(前述)한 주장은 사실상 무의미하다. 꼰대의 하나마나한 잔소리이고 기우가 될 것이다. 각기 다른 생각과 의견을 가진 수많은 시민이 살아가는 현실은 아쉽게도 그렇지 못하다. 다만 분명한 점은 견해가 다르다고 하여 시민들의 약속으로 만든 규범을 훼손하는 일은 자제되어야 한다. 제대로 운전을 하는 선의의 바이커들에게는 미안함도 함께 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