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8개 지자체가 경쟁을 벌인 간운데 15일 경북도 안전체험관 부지 선정 공모 결과가 나왔다. 안동시와 상주시 두 곳이 복수로 선정된 것이다.

그런데 도에서 선정기준이라고 내세운 것들이 가관이다. 입지여건과 교육수요, 교통 접근성, 사업의 적기 진행 가능성, 인근체험관과의 거리 같은 뻔하지만 객관적인 잣대라고는 볼 수 없는 항목들이었다.

아무튼 이 같은 참혹한 소식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허탈해하는 중이다. 시민 사회가 통째로 부글부글 끓어오르고 있다. 무력감에 빠진 한 쪽에서는 자조적으로 이렇게 말한다. ‘무얼 해도 영주는 안돼’라든가 혹은 ‘경북의 미운 오리 새끼 같다’거나 혹은 ‘왜 모든 걸 다른 지역에 빼앗기고 있는지 답답하다’는 등등

그래도 다소 이성적인 일부 시민들은 지역구 국회의원과 시장의 정치력 부재를 성토한다. 15년전 국군체육부대 유치 실패와 혁신도시의 탈락을 교훈 삼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무엇보다 비판의 핵심 타켓은 경상북도의 처신이다.

금번 결과가 보여 주듯 도는 현 시국에서 사실상 정책의 대전제라고 할 수 있는 지역균형발전과 지방소멸 대응 영역을 손톱만치도 고려하지 않았다. 오히려 선택과 집중의 논리에 매몰된 게 아닌가 하는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이를테면 쇠락하는 지자체는 그냥 내버려두고 가겠다는 전략처럼 비춰진다. 그렇지 않고서야 안동과 상주가 선정된 이유를 설명할 길이 쉽지가 않다.

수년간 다른 어느 지자체보다 먼저, 그리고 철저하게 준비하며 기회를 기다려왔건만 결과는 수포로 돌아갔다. 그렇다고 지금처럼 입에 거품만 물고 있을 일은 아니다. 이번 결정을 뒤집지는 못하겠지만 반드시 짚고는 넘어가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냉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먼저 이번 사태와 관련하여 영주시 도의원이 앞장서 총대를 메야할 것이다. 다가오는 도 임시회에서 도정 질의를 통해 공모 선정 과정과 납득이 어려운 선정기준에 대해 규명해야겠다. 만일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관련자의 문책은 당연하고 재심의 요청도 검토해야한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행정사무감사의 도마 위에도 올려 놓아야한다.

시장과 국회의원, 시의원들도 이대로 좌시하고 있어서는 안된다. 도지사 면담을 요구하고 이번 납득이 어려운 결정에 대해 적극 항의해야한다. 그게 안된다면 도청 앞 1인 시위라도 전개해야 한다. 10만 영주시민의 격앙된 목소리와 낙후된 도시라고 해서 의식까지 낙후된 것이 아님을 지사에게 들려줘야 한다.

비록 결과는 좋지 않았으나 그동안 열 일 제치고 안전체험관 유치를 위해 애쓴 시민들에게 감사한다. 각종 시민단체와 시청 관계자에게도 말뿐이지만 고맙다는 말을 전한다.

그리고 영주시 화이팅이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