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소방본부가 안전체험관 건립 부지를 공모중인 모양이다, 이런 가운데 도내 여러 지자체들이 시설 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지자체들이 앞을 다투어 욕심을 낼만한 게 사업비 330억원(국비100, 도비230)에다가 체험관 유지관리에 필요한 재원을 모두 도에서 지원하기 까지 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현재 타시도에서 이미 운영중인 안전 체험관을 보면 전북 임실군의 경우 10년간 방문객이 120만명에 달하여 경제적 파급효과가 대단한 모양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TF팀까지 꾸려서 공모사업에 매진하고 있는 것이 어찌보면 이상하지도 않은 노릇이다.

공모에 나선 지자체들의 입장 역시 다양하다.

포항시의 경우 2017년 지진으로 적지 않게 피해를 입은 도시이다. 이로 인하여 제정된 포항지진 특별법의 후속대책으로 그간 포항시는 중앙정부에 안전체험관 건립을 요구해 왔다. 또한 인구나 산업, 지진 발생 가능성 등 입지적 요건도 나름 갖추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미시는 9만명에 달하는 유해화학 물질 취급 근로자를 이유로 내세우고 있고, 상주시는 내륙을 연결하는 3개의 고속도로가 있어 접근성이 뛰어남을 강조한다. 안동시는 경북도청 신도시에 부지가 준비되어 있다며 뛰어들었고, 영천시 역시 유치 경쟁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우리 시 역시 수년전부터 안전체험관 건립의 필요성을 가지고 준비중이었으나 열악한 재정 때문에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을 따름이다. 그리하여 이번 공모에 참여하였는데, 작년에 개장한 선비세상 부지 내에 만일 체험관이 들어오면 수학여행의 명소로 자리 잡은 인근 소수서원 부석사와 연계하여 정적인 관광에다가 체험관광을 더해 입체적 시너지 효과를 내보겠다는 거다.

다만 상황을 보자면 영주는 포항이나 구미에 비해 산업 근로자도 많은 것도 아니고, 상주시에 비해 타지역으로부터 접근성이 뛰어난 편도 아니다. 혹은 경북 북부지방의 맹주격인 안동시 처럼 물밑 정치적 파워가 있는 것도 아니다. 어느 한 가지 내세울 만한 게 없는 것이 영주시다. 지방소멸 도시에 이름을 올린 것을 자산이라고 할 수 있으면 모를까?

그렇다고 실망하기엔 이르다. 역설적이지만 이런 낙후된 도시를 살리기 위해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모토가 존재하는 까닭이다. 지방소멸 대응 정책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런 측면으로 보자면 경상북도 역시 작금의 공모에서 영주시 안전체험관 건립의 당위성을 인정하지 않을 도리가 없을 것이다. 상식 따윈 아예 개에게나 던져주겠다는 생각이 아니라면 말이다. 예컨대 전북 임실군에 건립된 119체험관은 영주시의 논리를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선례라고 할 수 있다.

아무튼 안전체험관 건립을 염원하는 10만 영주 시민의 마음이 제대로 경북도에 전해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