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의 어둡고 긴 터널을 빠져나오는가 했더니 이번엔 난방비 급등으로 난리다. 국내 주요 난방 에너지인 도시가스는 지난해 대비 요금 인상폭이 대충 50%를 상회한다고 한다. 정말 난방비 폭탄이라는 표현이 과장된 게 아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2월에는 전기요금 인상까지 예정되어 있어 그렇지 않아도 인플레이션으로 허덕이는 서민들만 죽어 나갈 판이다.

상황이 이 지경이지만 정치권에서는 난방비 인상을 두고 연일 설전만 벌이고 있다.

야권은 이번 사태를 예비하지 못한 정부의 무능 탓으로 치부하고, 에너지 관련 기업의 과도한 영업이익에 대한 횡재세 개념의 부담금 부과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여권은 난방비 폭탄이 전적으로 현 야당의 책임이라고 반박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勃發)로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전 정권이 정략적인 이유(대선 관련)로 요금 인상을 동결하면서 난방비 충격을 강화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특히 정권의 탈원전 정책으로 가격 변동성이 큰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의 비중이 높아진 까닭도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이번 난방비 사태는 사실 누구의 탓이기보다는 국제 에너지 가격이 상승에 있다. 그리고 시민들이 화를 내는 이유도 난방비의 급등이 아니라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기보다는 한가롭게 정쟁을 일삼으며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데 기인한다.

여론이 비등해지자 정부는 서둘러 취약계층에 대해 에너지 바우처 지원액 인상과 사회적 배려 대상 가구의 요금 할인 폭도 기존 대비 2배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경상북도 역시 취약계층 난방비로 145억원을 긴급 지원할 것이라 한다. 얼마 전엔 서울시를 비롯해 일부 시‧군‧구에서 자체적으로 난방비 지원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주변이 이렇게 긴박하게 돌아가는 가운데 영주시는 아직도 별 기침이 없다.

하긴 변방의 소도시에 무슨 남아도는 예산이 있겠는가마는 그렇다고 서민들의 곤혹스런 처지를 마냥 관망만 하는 것도 민망한 일이다. 세간에 회자가 되는 얘기대로 2월에 전기, 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추가로 인상되면, 다시 말해 가계소득은 제자리걸음인데 기본생활비는 인상되고 가처분소득만 급감하면 소비감소와 기업매출감소로 이어질 것이고 결국은 지역 경제의 근간마저 흔들리게 된다는 뜻이다.

아무튼 지금은 다른 눈치 볼 것 없이 우리 시도 시의회가 머릴 맞대고 서민들의 형편을 헤아려야 할 때인지 모른다.

예전에도 흉작이 들 때마다 나라에선 구휼미를 풀어 백성들을 돕지 아니했던가.

참고로 이웃 나라 일본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일반 가정에 43만원 가량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