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기준 10만700여명의 인구를 기록한 가운데 바야흐로 영주시 인구 10만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2012년말 시 인구가 11만3천547명이었던 사실을 감안하면 매년 1천300여 명의 인구가 줄었고, 작금의 추세대로라면 인구 10만명 선은 올해를 넘기지 못할 것이 확실시된다. 그리고 문제는 단순히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인구의 고령화에도 있다. 다시 말해 일을 할 사람이 사라지고 있다. 말로만 설왕설래하던 지방소멸이 목전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얼마 전 시는 시의 명운을 건 인구정책 사업을 발표한 바 있다.

먼저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사업비 68억 원을 투입해 귀농인 임대주택 45호와 임대농장 등을 조성해 귀농귀촌인 정착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52억 원을 투입해 중소기업 175개소에 강소기업육성과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및 기술성장 디딤돌 사업, 특화맞춤형 기업지원 등으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구 유입을 도모한다.

지역 소재 대학생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27억 원을 들여 대학생의 전입 유도와 장기적으로는 인재의 지역정착 여건을 조성한다. 46억 원을 투자해 지역 생활체육 인프라 구축과 청년 정주지원 프로그램 운영, 청년쉐어하우스 등 정주여건을 적극 개선한다.

아울러 풍기읍 일원에 캠핑장, 특산물 판매장 등 여우 휴게마당 등 지역체류형 관광인프라도 구축한다. 특히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사업을 통해 외국 인력이 영주에 일정 기간 거주하면서 시가 제시하는 업종에 취업이 이루어질 경우 체류특례를 주는 사업도 시행중에 있어 제조업체 인력난 해소는 물론 인구 활력에 기대가 된다.

정리해 보면 시가 제시한 여러 인구정책들은 인구 문제에 대한 시의 적지 않은 고민을 엿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 길이 순탄해 보이진 않는다. 당장 출생 대비 사망이라는 인구의 자연 감소조차 커버하기 버거워 보인다.

또한 인구 유입책의 면면을 보더라도 단기간 성과를 낼 수 있는 성질의 과업과도 거리가 있다. 무엇보다 제한된 파이(인구)를 가지고 지자체간 치열한 경쟁을 통해 인구 유입과 유출방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잡아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게다가 출산과 보육, 실버 문화와 관련된 비전이 뚜렷하지 않는 것도 아쉽다.

어쨌거나 작금의 인구 감소 문제 해법은 하나의 지자체가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만 인구를 늘릴 수는 없더라도 인구 감소를 지연시키는 것도 하나의 정책일 수 있다. 평범한 시책 속에서 타지자체와 차별화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길을 운용의 묘에서 찾는 지혜도 필요하다.

다시 말하지만, 인구 감소는 남의 이야기도 강 건너 불구경도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하자. 아울러 제도를 바꾸고 문화를 바꾸는 일 역시 시민의 몫이라는 점을.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