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새마을회가 산하 단체장 간에 상급단체(도 및 중앙 새마을회) 진정과 고소 고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단(事端)이 난 내용도 다양하다. 부하 직원에게 사회봉사활동 실적을 허위로 입력하도록 압력 행사를 한 것이라든가 사적 부상(負傷)에 대한 허위 상해보상금 수령, 출연금으로 읍면동 새마을회장들에게 생일 선물 제공, 신축 새마을 선비회관의 비품 구입 및 이사업체 선정시 비교 견적과 산하 단체장 협의 없이 회장 독단적으로 진행, 부서 운영비의 무단 지출 등이 있다. 게다가 이와 관련해서 회계담당 직원이 사직서를 내고, 부장급 직원은 석연치 않은 사유로 해고가 됐다.
문제가 된 의혹의 시비야 시간이 지나면 어떤 식으로든 가려지겠지만 새마을회의 위상은 땅에 떨어졌다. 사회적 모범이 되어야할 단체가 외려 사회적 물의의 중심에 섰으니 말이다.
한 시대를 풍미하던 사회운동으로서의 새마을 정신은 시대적 소명을 다한 것일까?
왜 이런 불미스런 일이 일어났을까? 생각해보면 새마을회가 관변 단체로 고착되고 조직이 공룡처럼 비대해지면서 느슨해진 감이 없지 않다. 그리고 극소수겠지만 조직의 이름을 빌어 행세를 하거나 이번처럼 사적 이익을 도모하는 일도 심심치 않게 회자된다.
무엇보다 도덕적 해이와 매너리즘의 늪에 빠져 운동의 근간이 된 근면 자조 협동 같은 모토조차 희미해지고 있다. 이외에도 회원의 고령화로 조직이 활력을 잃고 경직화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물이 고이면 썩기 마련이다. 벌써 이순(耳順)의 나이를 바라보는 새마을회 역시 예외는 아닌 모양이다.
어쨌거나 우리 고장을 포함한 경북 지역은 새마을 운동의 본산이다. 특히 기성세대에게 있어 새마을 정신에 대한 자부심은 그만큼 대단하다. 오죽하면 경상북도에서는 행정 기구에 새마을이 들어간 부서를 만들어 운영하겠는가.
하여 할 수만 있다면 이번 기회를 계기로 시대에 맞는 새마을 정신으로 재무장할 것을 기대해본다. 물론 그전에 환부(患部)에 매스를 대고, 관련자에 대해서는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지방정부가 시 새마을회에 지원되는 각종 보조금의 집행 상황도 꼼꼼히 들여다봐야 한다.
다른 건 몰라도 시민들 입에서 새마을회의 논란을 두고 남세스럽다는 얘기가 나와서야 되겠는가.
운동화 끈을 고쳐매자.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