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차 연봉 4천만 원이 많은 겁니까? 영주시 환경미화원 노조 측에서 거리에 내건 현수막 문구이다.

10년차 연봉 4천만 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이다. 직종의 성격이나 일의 난이도, 사회적 통념, 하물며 개인적인 눈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말이다.

물론 환경미화원 직종에만 국한한다면 임금의 키 높이를 나름 알 수도 있겠다.

예컨대 우리 시와 비슷한 규모의 지자체 환경미화원 임금을 파악해서 비교하는 거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관내 환경 관련 업체 종사자의 임금을 함께 들여다보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짐작하는 수준이다. 많다 혹은 적다를 단언하기란 쉽지 않다.

영주시와 환경미화원노조의 임금 협상이 여러 차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는 모양이다. 임금 협상에서 노사 양측의 입장이라는 게 사실상 단순하다. 일반적으로 노동자 측의 요구는 과도하고 사용자 측은 인색하다. 어찌 보면 그게 인지상정이기도 하다. 하긴 그래서 협상이라는 이름의 테이블이 필요한 것이다.

각설하고 팽팽한 양측의 주장을 정리하면 대강 이렇다. 먼저 사용자인 영주시는 기본급 1.8% 인상과 호봉간 격차를 2만9천원으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한다. 반면 환경미화원노조는 기본급 3% 인상을 비롯해 각종 수당의 분할지급 및 명절상여금 120%, 간식수당 8만원 지급, 그리고 복지수당(신설) 2만원과 초과근무수당 고정급 신설과 근무시간 최대 30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 측의 요구를 축약하면 대강 총액대비 16.6% 정도의 임금을 인상해 달라는 거다. 연봉 4천만원을 가정할 경우 인상액은 연간 664만원 정도이다. 적지 않은 금액이다.

참고로 우리 시 환경미화원 평균 임금은 연봉 5천300만 원(휴일 근무 기피 일부 직원의 경우 4천300만원) 수준이며, 금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1.4%이다

한눈에 노사 간의 입장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금 협상이 진도를 내지 못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주지하다시피 임금협상은 인상 요인과 그에 따른 인상폭을 두고 겨루는 지난한 줄다리기다. 그리고 그 줄다리기는 승패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타결을 위한 명분과 실익의 절충점을 찾는 과정이다. 왜냐하면 만일 협상에 승패가 있다면 그것은 협상이 아니라 전쟁이다.

최근 고공 행진 중인 장바구니 물가로 시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봉급만 빼놓고 모든 게 올랐다는 말이 이젠 오히려 식상할 정도다. 특히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곤혹은 거의 역대급이다. 이런 가운데 환경미화원 10년차 연봉 4천만 원의 과소 논란(?)은 자칫 호사가들의 한가한 얘기처럼 비추어질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왕 말을 꺼냈으니 정리는 노사 양측에게 한 가지만 주문해 본다.

먼저 노조측은 사용자인 영주시가 10만 시민의 대리인이라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또한 영주시는 자신들이 시민의 권한을 위임받았음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 결국, 이번 협상은 노조나 사용자 측의 입장과 무엇보다 시민의 이익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들이 임금 협상의 귀추를 지켜보고 있다.

노사 양측 모두가 시민을 위한 전략으로 협상에 임하기를 거듭 기대한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