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 공장 건축허가 관련 의혹의 불길이 들불처럼 번지는 중이다.
시청 앞 1인 릴레이 시위에 이어, 가두방송과 10만 시민 서명운동이 벌어지고 있다.지난 19일 역 앞에서 26개 시민단체가 결성한 영주시 납폐기물제련공장 반대대책위원회 주관의 집회가 열렸다.

이번 집회의 초점은 단연 납 공장 건축허가의 취소이다. 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목 놓아 건축허가의 취소를 외쳤다.

본지 역시 사설과 6월 16일자 1면 기사에서 납 공장 건축허가 과정의 의혹과 문제점을 상세히 다룬 바 있다.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의혹의 핵심을 정리하면 이렇다

첫째, 공장 신설은 공장설립 승인 후 건축허가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선후(先後)가 바뀌었다. (허가 절차상 흠결 문제)

둘째, 업체 측에서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 주민을 기망하거나 제대로 된 설명 없이 주민동의서를 징구했다.(허위 문서 제출)

답답한 것은 허가 부서의 미온적 태도다. 내부적으로는 문제점을 검토 중이겠지만 바깥으로는 속 시원한 해명 한 마디 없다. 다만 이런 상황에서 그 침묵은 미덕이나 금(金)이 아니다. 오히려 의혹과 궁금증만 더 키우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업체와의 유착관계를 의심하는 소문까지 언급되는 상황이다.

누가 이런 3류 기업 소설속의 상황이 사실이기를 원하겠는가. 이런 소설은 시민도, 시나 관련 업체도 모두 원치 않는 스토리다.

아니면 오래전 세간에 회자가 됐던 노무현 전대통령의 말처럼 이 쯤 되면 막 가자는 것인가.

다시 말하지만 시민들이 하릴없이 30도를 넘나드는 뙤약볕 아래 시간을 할애하여 집회를 연 것이 아니다.

그날 모인 시민들의 구호는 5년전 광화문의 촛불의 또 다른 이름이다.

시민은 알 권리가 있다.
시민은 행정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저항할 권리도 있다.

게다가 그들의 시간과 에너지는 모두 사회적 비용이다. 시민을 편안하게 할 책무가 있는 시가 시민을 불편하게 하거나 호주머니를 축내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6월7일 해당업체가 신청한 공장설립승인 기일(期日)이 다가오고 있다.

다행히 들리는 얘기로는 공장설립 승인 까지는 몇 가지 행정절차가 남아 있다. 특히 폐기물 처리 사업계획에 관한 최종 승인도 남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시민이 우려하는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쪼록 영주시의 올바른 선택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