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망동 도서관 사업이 진행되면서 사업장을 드나드는 대형 트럭이 인도의 경계석을 넘나들고 맨홀 뚜껑의 보호시설을 훼손하고 있다.

이에 그동안 수면 아래 있던 인근 하망동 보행환경개선지구 주민들의 불만이 다시 터져 나오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2013년 행정안전부로부터 시범사업에 선정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중앙초등학교 주변 지역에 안전한 보행과 가로환경 정비로 보행자 중심의 도로를 조성하면서 비롯된다. 사업은 완료됐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차도와 인도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인도에는 불법주차 차량이 차도에는 사람들이 오가는 이상한 상황이 연출됐다. 시에서는 불법주정차 근절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나섰고, 불법주차 문제는 일단 소정의 성과를 거두게 된다.

다만, 가게 앞 도로변 주차에 길들여진 주민들의 주차 불편은 그대로 남았다. 다시 말해 이 사업은 보행자 편의와 길가 주차 공간(?)을 서로 바꾼 셈이다.

하망동 보행환경개선지구의 주차 공간 감소 문제는 간단치가 않다

해당 주민과 상가를 찾는 고객의 불편은 물론 고객의 감소로도 이어지면서, 그렇지 않아도 쇠락해가는 구도심 상권의 마지막 숨통마저 조이는 형국이다.

또한 다른 허점도 발견된다. 이를테면 보행 인구에 비해 과도하게 넓은 인도와 그늘막이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벤치, 엉성하게 조성된 가로수 등을 들 수 있다. 시에서 구상했던 보행자 중심의 도로와는 거리가 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주민들은 시가 국비예산 확보에만 급급한 나머지 사전에 해당지구의 차량통행 실태나 보행자 조사, 거주민의 의견수렴, 상권에 미치는 영향 등의 충분한 검토 없이 추진한 사업이 빚어낸 참사로 해석한다. 즉, 절차상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해 지역 주민의 민원과 진정서가 제출되고, 본지에서도 여러 차례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시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시에서는 사안을 주차의 불편으로만 생각하는 걸까? 주차 문제로만 국한한다면 하망동 뿐만 아니라 도시 곳곳이 이와 비슷한 상황이므로 특별할 게 없다. 그러나 주민들 사정은 다르다. 주차의 불편은 표면적인 것이고, 그 이면은 생업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양측의 생각이나 논리가 어떻든 이 논란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하망동 보행환경 개선 사업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오히려 시민의 불편을 초래한 사업으로 기억될지도 모른다.

시는 관련 주민협의체와의 협의에 나서야 한다. 주민들이 건의하는 우선 주차제 도입이라든가 기존 인도 폭의 조절, 도서관 주차타워의 주민 무료이용, 소규모 주정차 구역확보 등에 대한 검토라도 서둘러야 한다. 시민은 불편한테 시가 외면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더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