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폭염에다가 선거의 열기마저 뜨거운 가운데 적서 농공단지 내 납 합금연 생산 공장 설립 문제로 민심이 폭발 직전이다. 시민들도 다 아는 것처럼 휴천동의 미세 공기질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그런데 납 공장까지 들어선다하니 시민들이 경악할 만 하다. 납 공장이 들어서면 낙동강의 수질오염은 물론 대기오염으로 인한 농‧특산물의 피해와 시민의 건강까지 안심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해당 업체는 기자회견을 갖고 해명을 내놓았다.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해 집진시설을 완벽하게 구비했다. 또한 주민설명회는 못했지만 개인적으로 만나 주민의 동의를 받았다. 게다가 납 성분은 WHO가 정하는 1급 발암물질이 아니라는 점도 덧붙였다.
그럼에도 여전히 몇 가지 의문이 남는다. 먼저 집진시설이 해당 전문 엔지니어들이 만들었다고는 하나 공인된 설비는 아니라는 점이다. 비근한 예로 영풍석포제련소의 카드뮴 유출 관련 논란을 들 수 있다. 제련소에 오염방지 시스템이 없어서 이런 논란이 오랜 기간 이어져 온 것은 아니다.
둘째 집진시설의 성능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치고, 공청회를 패싱하고 인근 주민의 동의로 대신한 점도 마뜩하지 않다. 공청회 제도는 공개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구한다는 점에서 시민의 알권리를 적극 보장하는데 의미를 둔다. 물론 허가 당시 코로나-19로 다수의 시민이 참여하는 오프라인상 공청회는 현실적으로 곤란했던 측면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매체(인터넷이나 다른 미디어)를 통해 공지라도 해서 공장 설립 문제를 시민과 공유하는 게 적정했다고 생각된다.
셋째 비록 납이 1급 발암물질까진 아니더라도 유해물질임은 분명하다. 특히 산업의 발달로 그 오염 정도가 점차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사람의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축척된 납 성분을 방치하게 되면 조혈기능 장해와 실명, 심한 경우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업체의 주장대로 납이 별 문제가 없는 물질이었다면 원재료의 생산시설이 있는 함안 인근에 납 공장을 설립하는 게 비용적인 측면에서 맞다. 또한 인근 주민에게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납 공장이라고 분명히 밝히지 않을 이유도 없다고 본다. 다시 말해 더 큰 문제는 업체 측의 안일한 태도이다.
시민들이 분개하는 이유는 더 있다. 허가관청인 영주시나 시의원도 내용을 몰랐다는데 있다. 더 두고 볼일이지만 만일 문제가 있다면 시장은 행정적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민의를 대변해야 할 시의원도 정치적 책임을 마땅히 져야 한다.
아무튼 납 공장 허가과정에서 야기된 이번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시의 입장 표명이 이뤄져야한다. 특히 시민이 우려하는 납 생산 과정에서 예상되는 환경오염에 대해 소상히 밝혀줄 것을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