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선거의 계절이다. 5.19일자로 선거 운동이 시작됐다
길목마다 후보자와 선거운동원들은 홍보용 피켓을 들고 인사를 하거나 지지를 호소한다. 차량에 광고판을 싣고 거리를 누비며 메가폰으로 어필을 하기도 한다. 또한 적지 않은 발품을 팔며 후보자의 명함을 돌리는 모습도 눈에 뛴다.
홍보의 문구는 한결같이 장밋빛이다. 장밋빛에는 당연히 아무런 죄가 없다.
다만 후보자들이 내건 공약의 색깔이 너무 닮아서 식별이 어려운 게 흠이라면 흠이다. 또한 그 구호가 어디까지 참인지, 어디까지가 실현 가능한 애기들인지도 모호하다. 그 무엇도 확연하지 않고 그 누구도 담보할 수 없다.
물론 후보자 당사자들이야 각기 자신만이 시민의 일꾼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럼에도 답답한 쪽은 역시 후보자가 아니라 유권자들이다.
후보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지표조차 알 방법이 마뜩하지 않다. 고작 시민들이 아는 것은 후보자의 소속정당이나 기호 정도다. 조금 더 관심이 있는 시민이라 해도 누구네 아버지라더라, 아니면 어떤 직업, 어떤 단체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든가 혹은 어느 학교 출신이라는 정도이다. 더 알려한다면 후보자의 사무실을 방문해서 물어봐야할 지경이다.
정책은 고사하고 인물조차 제대로 알기 쉽지 않은 이런 상황에서 시민들은 어떻게 최적의 대표자를 뽑을 수 있을까. 시민들이 점쟁이도 아니고 말이다. 유권자들의 합리적 선택에 대한 기대는 어쩌면 처음부터 무리일지도 모른다. 기계도 제대로 된 정보를 입력해야 그에 상응하는 답안을 출력해서 보여 준다.
하물며 지방정부의 적지 않은 권한을 쥐게 될 사람을 선출하는 데야 더 말할 나위가 있을까.... 사람을 뽑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당선은 누구든 될테니까. 중요한 것은 그렇게 선출된 후보가 어떻게 민의를 대변하는 대표자가 될 수 있겠는가에 있다. 결국 현재로서는 후보자나 유권자 모두 사적인 인맥이나 ‘뭐라 카더라’라는 통신에 의존해 선거를 치룰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문제는 또 있다. 무투표 당선의 경우엔 아예 후보자 정보 부재의 차원을 넘어서 있다. 후보자의 검증이라는 게 정당의 공천과정이 전부이다. 시민들에겐 후보자를 제대로 알고 검증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어느 동네는 막대기를 꽂아 놓아도 당선이 된다는 웃지 못할 얘기까지 나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작금의 선거를 과연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불러야할지 조차 잘 모르겠다. 양당 정치의 폐해는 패싱하더라도, 비록 일각에서지만 지방자치제의 무용론이 거론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왕 말을 꺼냈으니 한 마디 더 보태면 선거에서 유권자가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