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영주시의원 선거구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경북도선거구획정위는 최근 영주시와 시의회, 각 정당에 공문을 보내 인구 하한선에 미달된 ‘가’선거구(순흥·단산·부석면/의원 1인당 인구 3천433명)와 ‘라’선거구(이산·문수·평은·장수면/의원 1인당 인구 3천929명) 조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시와 시의회 국민의힘은 기존의 2인 선거구를 유지하면서 조정이 필요한 해당 선거구 2곳만 손을 보는 획정안을 냈고, 더불어민주당은 기존 2인 선거구를 3~4인 선거구제로 바꾸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설명을 보태면 영주시와 시의회, 국민의힘은 기존 ‘가’ 선거구(순흥·단산·부석)에 상망동을 포함하고, ‘라’ 선거구(이산·평은·문수·장수)는 휴천1동을 포함하는 의견을 냈다. 면지역 선거구의 지리적 인접성과 교통을 고려한 것이다.

반면 더불어 민주당은 현행 2인 선거구 6개를 2인 선거구 1개와 3인 선거구 2개, 4인 선거구 1개 총 4개 선거구로 획정하자는 의견을 냈다.

그러나 양당의 획정안은 저마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국민의힘의 획정안은 농촌지역 선거구에 인구가 많은 도시지역을 포함하는 것은 농촌 출신 후보자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공정의 문제가 있다. 또한 아무리 좁은 지역이지만 농촌과 도시의 정서나 조건이 서로 다르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민의를 대변해야 하는 시의원 대표성에 결함이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다’선거구(가흥1,2동/의원 1인당 인구수 1만 1천930명)의 경우 인구의 상한선(1만2천741명)에 근접하고 있어 다음 선거시 선거구를 다시 손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다만 구획 조정을 최소화하여 여론을 안정적으로 가져간다는 이점은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획정안은 선거가 임박한 가운데 선거구를 통째로 바꾸게 되면 후보자는 물론 유권자에게 적지 않은 혼선이 온다. 그렇지 않아도 선거구 조정이 늦어지고 있어 시민이나 후보자 모두에게 혼란스러웠지 않았던가.

물론 중‧대선거구는 소수 정당이나 무소속에게 당선 가능성을 높인다는 강점이 있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양당제의 폐해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것도 사실이다.

이제 공은 경북도의회로 넘어갔다.

경북도 선거구획정위에 제출된 변경안은 도지사가 ‘경상북도 시․군의회의원 선거구와 선거구별 의원정수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경북도의회에 제출하게 되고, 도의회는 최종 의결과정을 거쳐 오는 28일 결정하게 된다.

현재로서는 다른 변수가 없다면 도의회의 다수당인 국민의힘의 안이 유력해 보이지만, 그럼에도 도의회는 앞에서 지적한 양당의 선거구 획정안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통해 현명한 결정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