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 선거가 7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방선거는 그 동안 대선의 열기에 가려져 시계가 제로였다.

정당의 공천을 통한 입후보를 고려하는 기존 정치인이나 정치 희망자들이 자의든 타의든 대선에 몰빵(沒放)하면서 지방선거가 깜깜이 선거로 흐를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특히,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신인 정치인의 경우 자신을 알릴 시간이 부족해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다.

대선이 끝났다. 그러나 여전히 본격적인 선거 체제에 들어서질 못하고 있다.

영주시의 경우 다른 걸림돌이 남아있다. 지난 3월 17일자 본지 1면에서 다룬 바 있지만 영주시의회 시의원 선거구의 불부합지역이 생겨났다. 따라서 선거구의 기준 인구 미달인 2개의 선거구에 대한 재획정이 불가피하다.

다른 하나는 대선 공약을 통해 거론되었던 선거제도의 개편이다. 소수 정당의 지역 정치권 진입을 막아온, 거대 양당의 독점(?) 구조였던 기존 2인 선출 선거구를 3인 이상으로 개편하는 문제가 남았다. 조만간 그 모습이 드러나겠지만 국회의 정치개혁특위가 이 사안들을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따라 선거구의 전면 재편도 가능해진다. 예컨대 현재 2인을 선출하는 방식을 3인으로 늘린다면, 6개의 시의원 선거구가 4개로 축소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렇지 않아도 이래저래 갈 길이 바쁜 시의원 출마 예정자들의 셈법이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선거구가 바뀌면 출마예정자들이 당초에 그렸던 선거운동의 전략이나 선거 공약에 대해 대폭 손질이 불가피하다. 이는 선거 과정의 불확실성도 그만큼 증가함을 의미한다. 시간은 없고 마음만 바쁘게 된 형국이다.

또한 선거 일정의 불투명은 유권자인 시민들에게도 혼란을 준다. 시민들은 자신의 선거구에 나오는 출마자에 대해 제대로 살필 시간적 여유가 줄어든다. 선거가 민주주의 꽃이라는 정치적 수사는 유권자의 소신 투표 위에서만 비로소 가능하다. 출마자를 제대로 알지도 못한 채 어떻게 소신 투표가 가능하겠는가.

시장과 시‧도의원을 뽑는 지방선거는 4년간 지역의 현안과 살림살이를 다루는 중요한 사안이다. 시민들에게 지방선거의 의미는 현실적으로 대선에 비할 바가 아니다. 대선이 큰 덩어리의 추상적인 그림이라면 지방선거는 디테일하면서 구체적인 시민의 일상과 밀접하다. 즉, 시민의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달려있다.

정치권이든 선거관리위원회든 이 점을 감안해 선거 일정의 속도를 내야한다. 아울러 이번 지방선거에서 참신하고 역량을 갖춘 지역 동량(棟梁)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기대한다. 지난 대선처럼 뜨거운 선거를 통해 우리 지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 함께 고민할 때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