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With Corona는 한낱 환상이었던가.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던 단계적 일상회복이라는 슬로건은 두 달도 채우지 못하고 무력한 구호가 됐다. 지난해 12월 이후 코로나 확진자 수가 증가하더니 전염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설 전후로는 1일 전국 3만명 대를 넘어섰다. 영주시라고 예외는 아니어서 얼마전 1천명 선을 돌파했다.
치명률이 낮고 치료약도 개발됐다고는 하나 사태가 그리 녹록치 않다.
게다가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7인 이상 사적 모임의 규제와 식당․ 카페 등의 오후 9시 이후 영업 금지 조치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코로나의 계절에 최대 피해자는 역시 소상공인, 자영업자라고 할 수 있다. 특수(特需)라고 할 연말연시 기간조차 손님들의 발길이 눈에 띄게 줄었다. 그들의 어려운 형편은 누구보다 시민들이 먼저 알고 있다. 그러나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코로나 피해는 어쩌면 세간에 알려진 수준 그 이상일지도 모른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했는지, 아니면 대선을 앞두고 표를 의식한 건지는 몰라도 유력 대선 후보자들까지 나서서 50조원인가 100조원인가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공약을 발표했다. 그리고 경제부총리는 원포인트 추경을 통해 코로나로 매출이 감소한 소상공인에게 금명간 손실보상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영주시도 소상공인을 위한 75억원 규모의 경영안정 지원이나 재창업·폐업 지원, 새바람 체인지 지원사업(도비)등을 금명간 시행한다하니 여간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문제는 그 정도로 2년간 누적된 피해를 해소하기에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이다.
지방정부 차원의 독자적 지원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다. 인근 상주시는 이미 발 빠르게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작년에 이어 올해도 3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 3월경엔 소상공인 및 전 시민에 대한 지원을 시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영주시 또한 시와 시의회가 머리를 맞대고 코로나 피해 추가 지원 검토를 촉구한다. 시민 모두에게 지원하는 것 까지는 기대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역 경제의 중요한 축(軸)인 소상공인들을 지원하는 노력만큼은 더 필요하다
식상하게 예산 애기는 하지 말자. 지자체의 예산 사정이 어렵다는 것은 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래도 영주시 재정 여건은 여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으로 알고 있다. 예산은 시민을 위해 쓰라고 있는 것이다. 영주시민이 곧 영주시가 아닌가. 만일 곳간(庫間) 사정이 어렵다면 기채라도 낼 각오를 해야 한다. 그래야 ‘힐링 중심’을 시 슬로건으로 내건 영주시의 품격에 맞는 일이다. 다른 문제도 산적(散積)해 있겠지만 영주시의 파이팅을 기대한다.
비록 주장은 쉽고, 실천은 쉽지 않더라도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