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이젠 남의 애기가 아니다. 인구가 줄면서 빈집은 늘어나고, 일자리가 없으니 청년들은 떠난다. 영주시의 현주소다. 인구 감소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고, 영주시만 떠안고 있는 고민꺼리도 아니다.

국가적 차원에서 보더라도 청년층이 엷은데다가 소득과 고용이 불안정하다. 특히 신자유주의 시대를 맞아 경쟁은 심화되고 초고령화에 따라 청년들이 져야할 미래의 부담도 해가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이제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의 기피는 개인의 일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가 됐다. 더 큰 문제는 저출산과 고령화의 추세가 구조화 고착화됐다는 사실이다.

지난 10년간 영주시는 매년 평균 약 1천 300명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현재의 흐름대로라면 시민들은 2023년에 인구의 10만 붕괴를 목도하게 될 것이다. 인구의 10만 붕괴는 붕괴 그 자체만으로도 영주시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줄 것이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행정조직의 축소와 공무원 직급 하향 조정, 교부세 감소가 연쇄적으로 아니 동시에 일어난다. 당연히 지방 경제에 악재로 작용하고, 인구의 감소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쳇말이 아니라 머지않아 영주시 간판을 내려야 할 때가 올지도 모른다.

물론 그동안 영주시도 손을 놓고 있지는 않았다. 보육료와 출산장려금,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과 육아휴직 등의 출산장려 정책과 귀향과 귀농 같은 인구 유입책을 추진했다. 다들 알겠지만 성과는 미비했다. 게다가 뚜렷한 다른 대책도 없어 보인다. 상황이 이리 돌아가다가 보니 나라님도 못하는 일을 지방정부가 어떻게 해법을 내놓느냐는 푸념서린 항변조차 이해가 된다. 사실 이럴 때 그 흔하디흔한 전가의 보도(?)라도 한 자루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마냥 손을 놓고 있을 때는 아니다.

인구 감소는 여러 층위의 복합적인 사회 문제로서 접근이 쉽지 않다.

다만 그 핵심에 청년층이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한걸음 더 들어가면 청년의 일자리 문제와 결부된다. 예컨대 양질의 일자리만 있다면 청년들이 구태여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떠날 이유가 없다. 오히려 타지역의 청년들이 영주시로 역 유입되는 일도 가능해진다. 좋은 일자리가 주어지고 경제적으로 안정만 되면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도 자연스럽게 늘어 날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그렇다.

문제는 누가 어떻게 무슨 재원으로 일자리를 만들 것인가라고 물을 때가 있다. 일자리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지만 일자리가 하루 이틀에 뚝딱 만들어진다고 믿는 바보는 없다. 일자리를 만드는 데는 발상의 전환과 천문학적 비용, 제도적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개인과 기업, 지방정부의 삼위일체가 뼈를 깎는 노력이 요구된다. 한 세대 이상의 지난한 싸움이 될 수도 있고, 그 성패도 쉽게 장담하지 못한다.

사회 경제 문제에 있어서 왕도 따윈 없다고 한다. 캄캄한 어둠속에서는 반딧불이 한 마리의 희미한 빛도 길라잡이가 될 수 있다.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청년 일자리밖에 달리 답안이 없다면 그 길을 가야한다. 소걸음으로라도 가야 한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