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출(본지 논설위원)

‘통일이 되면 무엇이 좋은가'라는 초등학교 주관식 시험 문제에 ‘나라의 힘이 강해진다‘
라는 한 가지 답만 정답이라고 했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열린교육‘이 대 국민 정치교육으로 변질되는 것인가. ‘열린교육‘ 의 폐해를 과감하게 시정하려는 노력과 함께 교사 자질 향상 대책도 시급히 강구해야 하겠다.

<‘열린교육‘이 문제다 designtimesp= 13734> 라는 제목으로 실린 2001년 3월 9일(금) 자 조선일보 사설의 결론 부분이다. 사설이란 해당 언론사의 가치관을 드러내는 글로써, 특히 주요 일간지의 사설은 요즘 학생들의 논술 학습에 이용되고 있는 만큼 더욱 신중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과연 ‘열린교육‘이 문제인가?

필자는 이 사설을 읽고 문장의 기본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은 차치하고 과연 이 사설을 쓴 사람이 ‘열린교육‘이 어떤 것인지를 알고 있는 분인지가 의심스러웠다.

작금의 교육 현실은 난방을 잘해놓고 교실 문을 열어놓은 채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열린교육‘ 이 아니냐고 우스개 소리를 하는 동료들의 말에도 웃을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사전 준비도 없이 선진국의 교육제도나 방법을 도입하여 앞장서 나가고 있는 교육 당국도 문제지만 ‘교단붕괴‘나 ‘학교붕괴‘에 대한 혐의를 ‘열린교육‘으로 돌리는 것으로 보아 이 사설을 쓴 사람은 교육 현실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

한 가지 답만 정답이라고 하면서 여러 가능성을 닫아놓은 채 획일적인 교육을 하는 것은 ‘열린교육‘이 아니다. 오히려 ‘닫힌교육‘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다양성을 인정해주는 ‘열린교육‘이 되자면 칠판과 교과서에만 의존하여 평생 동안 주입식 수업을 해 온 교사들만 바뀐다고 가능한 것이 아니다.

아직도 한 학급의 인원이 40∼50 명 선인데 한 교실에 담임교사만 둘을 배정한다고 해결되는 문제인가?

더구나 경북교육청은 한 학급당 교사 2.0 이라는 기준을 1.9 로 바꾸었다. 이렇게 시계바늘이 거꾸로 돌아가고 있는데 교육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

같은 날 영남일보 ‘자유성‘에는 이런 글이 실렸다. 과외비를 감당할 수 없어서 앞다투어 이민을 가고있는 현실을 보면서 국회법사위에서는 ‘학원 설립·운영 및 과외 교습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과외 신고를 의무화하여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담배값을 올려서 금연으로 유도하겠다는 발상과 다를 바 없다.

과외를 없애는 가장 바람직한 길은 공교육을 바로 세우고 입시지옥을 완화하는 것이다.

또 한겨레신문 ‘여론나침반‘에 실린 글을 보면 학벌사회를 조장해 온 이 땅의 언론들은 역시 하나같이 ‘전교 수석 여중생이 원조교제 해 충격을 주고 있다.‘ 라고 보도했다.

그럼 학업 성적이 꼴찌인 여학생은 원조교제를 해도 충격적이지 않다는 말 아닌가? 이렇게 성적지상주의를 유포하고 있는 언론의 이중성에 화가 났다는 내용이다.

사실 학교의 교육력은 신문·방송의 전파력에 미칠 수 없다. 대국민 교육력이 막강한 언론은 이렇듯 일거수일투족이 신중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이 땅의 주요 중앙일간지들인 조·중·동 이 왜곡 편파보도를 일삼아서 조폭언론이라는 악명을 날리고 있다는 여론이 빗발치고 있으며,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 ‘우리 모두‘라는 사이트에서 안티조선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이때, 기자들이 자기연찬에 힘을 기울여야 함은 물론이고 신문사 내에 편집위원회를 구성하여 모든 기사를 상식 선에서 검토해야 할 것이며 논설위원이나 주간은 자질 검증을 거친 후에 해당 부문의 전문 지식을 갖추고 나서 사설을 쓰도록 해야 할 것이다.

<김우출.본지논설위원 designtimesp=13761>
[시민칼럼]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