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이라고 애국가의 가사에도 나타나듯 소나무는 한국인의 의·식·주와 깊은 관계가 있었다.
학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소나무가 한반도에서 자라기 시작한 것은 대략 6,000여 년 전부터라고 한다. 따라서 소나무는 우리 조상들의 삶과는 밀접한 인연을 맺어가면서 자라온 나무이다.
소나무의 밑 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지는 것을 『반송』이라 하고, 여러 개의 붉은 줄기가 우산 형태의 수형을 하는 것을 『다행송』이라고 하며, 강원도 태백산을 중심으로 자생하는 줄기와 마디가 곧은 것을 『금강송』이라고 하며 주요 조림수종으로 손꼽힌다.
어떤 소나무라도 수령이 많아지면 나무 줄기 중심부의 빛깔이 짙고 단단한 부분인 심재가 발달되어 붉은 색의 비율이 반쯤 되는 것은 반백송이라 한다.
특히 그중에도 "소나무 중의 소나무", "백목의 왕"으로 일컫는 『춘양목』은 태백산맥 남부 일대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을 중심으로한 산악의 음산 지대에 자생하는 일명 『적송』이라고 부르는 소나무이다.
아주 좋은 질의 소나무에 대한 대명사로 불리는 춘양목은 수형이 곧을 뿐만 아니라 옹이가 없고 재질이 단단하여 뒤틀림이나 터짐이 일반 소나무에 비해 극히 적으며, 심재가 많아 일반적으로 적송이라고 부른다.
외관상 특징으로는 가지가 가늘고 적으며 나무 줄기 상단부는 표피가 얇고 황적색을 띠며 하단부의 수피는 규칙적으로 거북이 등 모양과 같이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다른 소나무와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이곳에서 자라는 춘양목의 재목은 색깔이 진홍색을 띠고 직사광선에도 변함이 없이 무늬가 아름다워 널리 이용되면서 점차 전국적으로 각광을 받아 명성을 날리게 되었다 한다.
이로서, 옛날 궁궐의 신, 개축 재목으로 진상되고, 사찰, 관아는 물론 부호들의 대가 건축 자재로 널리 애용되어 왔다.
시민신문
영주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