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용호 (전 영주교육장)

옛사람들은 이름을 매우 귀하게 여겨 남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았다. 성인(成人)의 이름은 임금[君]․스승[師]․부모[父]만이 부를 수 있었다. 일반인이 맨 이름만을 부르는 것은 그 사람을 가볍게 여기거나 죄인 취급한다는 의미로 해석하여 매우 불쾌하게 받아들였다. 비록 윗사람일지라도 예우를 해야 할 아랫사람에게는 관직이나 자(字)를 부르는 것을 원칙처럼 여겼다. 그래서 남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자가 있으면 막무식꾼이라고 손가락질했다.

국왕도 조정의 고관들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았다. 심지어 노비일지라도 선대부터 부리던 노신(老臣)은 이름으로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 자식도 성년이 된 후에는 애비, 애미 혹은 박실이, 김서방 등으로 호칭을 바꾸고, 마을 여인네를 선돌댁, 거렁골댁 등 택호로 부르는 풍습도 같은 맥락으로 생각된다. 이런 풍습은 삼국시대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시대에 와서는 우리 사회에 폭넓게 펼쳐져 있었던 대표적 사회문화의 하나였다.

호(號)는 허물없이 부르고자 하여 만든 또 다른 품격을 갖춘 이름이라고 보면 된다. 영어의 펜네임(Pen name) 정도에 해당할 것이다. 호는 친구나 아랫사람이 지어 줄 수도 있고, 본인이 스스로 짓기도 한다. 그래서 추사 김정희는 100개가 넘는 호를 사용했다고 한다.

당호(堂號)는 본래 당우(堂宇)의 명칭이지만, 자주 쓰다 보니 그것이 그 집주인을 나타내는 별칭으로 굳어진 것이다. 그래서 나중에는 호․아호․당호가 모두 같은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또한, 별호․택호․시호․법명․세례명까지도 넓은 범주의 호에 포함 시키기도 한다.

작호(作號)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자신과 인연이 있는 장소를 근거로 하는 소처이호(所處以號), 이루어지고자 하는 뜻을 나타내는 소지이호(所志以號), 자신이 처한 환경이나 여건을 담은 소우이호(所遇以號), 애완 물건이나 기호품을 근거로 지어지는 소축이호(所蓄以號)가 그것이다. 그중 ‘소처이호’가 가장 많아 전체의 절반을 훌쩍 넘어선다고 한다. 자신의 고향 마을 이름을 비롯하여 인연의 있었던 지명, 산, 강, 골짜기, 바위 관련 이름을 넣은 호가 모두 여기에 속한다.

퇴계(退溪) 이황의 ‘퇴계’라는 호는 그의 고향인 토계에서 구도 생활에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율곡(栗谷) 이이 역시 자신의 친가 파주의 ‘율곡’에서, 반계(潘溪) 유원형의 ‘반계’는 부안의 우반동을 딴 것이다. 박지원의 호 연암(燕巖)은 그가 은거하던 금천 ‘연암’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런 예는 차고도 넘친다. 삼봉(三峯) 정도전은 그의 기거지이던 한양의 삼각산, 금계(錦溪) 황준량은 자신의 소요처 풍기 금선계곡에서 작호 되었다. 안촌(安村) 배응경은 그의 출생지 성주의 안터 마을, 단곡(丹谷) 곽진도 그가 생활하던 곳, 취사 이여빈의 다른 호 감실[鑑谷]도 감실 마을, 백암(栢巖) 김륵은 그의 출생지 순흥부 백암리에서 취한 것으로 보인다. 도촌(桃村) 이수형은 그의 우거지가 봉화 도촌이었고, 옥천(玉川) 조덕린은 그가 입향한 마을이 법전의 옥천이다.

다만, 마을 이름이 거의 우리 말 식으로 되어 있었던 만큼 이것을 두 글자 한자식으로 정비 또는 변경 작호 한 것은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선비들의 호가 마을 이름으로 정착되었다는 설은 그 근거가 불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작호도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예전에는 성리학 사상에 충실한 호를 주로 지었다면, 20세기부터는 보다 개성적이면서 자기 취향이 강한 작호가 많이 선호되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점잖은 친구끼리 서로 호를 부르거나, 예술인을 중심으로 호를 지어 호칭하려는 복고의 움직임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듯하다.

현재 우리 지역 사람들이 사용하는 호로는 적비(赤鼻), 서각(鼠角), 화동(火童), 어안(魚眼), 이산(伊山), 학암(鶴巖), 금헌(琴軒), 석헌(石軒), 여영(呂暎), 초향(初香), 초원(草園), 설곡(雪谷), 소연(素然) 등이 있으며, 아르뫼, 가온, 먼산 등 우리말 호도 가끔 보인다. 기왕에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의 닉네임도 조금 품위 있게 작호된 닉네임이 사용되었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