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최종편집 : 2024-04-27 06:35 (토)

본문영역

보도자료실

제목

독자기고

닉네임
이문학
등록일
2016-06-09 10:21:38
조회수
1595
첨부파일
 불천위 제례.jpg (223399 Byte)
불천위(不遷位) 제례 세계문화유산 추진을

이문학 / 봉화군 봉화읍‧ 前 공무원

나라에 큰 공훈을 남기고 죽은 사람의 신주는 오대봉사가 지난 뒤에도 묻지 않고 사당(祠堂)에 영구히 두면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허락된 신위(神位)를 말한다. 그런 불천위 제례를 세계문화유산(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추진을 하자는 의견이다.
불천위는 불천지위(不遷之位)의 줄임말로 불천위는 고려중엽 이후 사당을 짓게 되면서 부터이다. 불천위가 된 신주는 처음에 묘역 밑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나, 종가 근처에 사당을 지을 수 있게 되면서 부조묘(不祧廟)가 등장 했다. 불천위 천거는 문묘 종사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됐다. 신주를 조매(祧埋)하지 않고 계속 봉사한다고 하여 부조위(不祧位)라 부르는 곳도 있으며, 불천위를 두는 사당을 부조묘(不祧廟)라고도 부른다. 불천위에는 나라에서 정한 국불천위(國不遷位)와 유림에서 발의하여 정한 유림불천위(儒林不遷位) 혹은 사불천위(私不遷位)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림불천위보다는 국불천위가 더 권위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조선말에 정해진 국 불천위는 조정 중신들의 파당적 이해가 개입되기도 했다한다. 유림불천위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유림에서 발의하여 정하는 사례가 있었다. 국 불천위의 대상은 원칙적으로 문묘(文廟)에 배향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우리나라 사람으로서 문묘 배향자는, 동무(東廡)에는 신라시대의 설총(薛聰), 고려시대의 안유(安裕), 조선시대의 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송준길(宋浚吉)이 배향되어 있고, 서무(西廡)에는 신라시대의 최치원(崔致遠), 고려시대의 정몽주(鄭夢周), 조선시대의 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김인후(金麟厚)·성혼(成渾)·조헌(趙憲)·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 등이 배향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국불천위들이다. 이 밖에도 왕이나 왕자·부마 등도 엄격히 따지면 국불천위의 대상에 속한다. 유림불천위나 사불천위는 그 수가 대단히 많은데, 서원에 배향되어 있는 사람들은 일단 그 대상으로 볼 수 있다 한다.
불천위는 그 자손들이 있는 한 분묘와는 별도로 사당에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낸다. 이러한 제사를 ‘불천위제사(不遷位祭祀)’ 혹은 ‘불천위대제(不遷位大祭)’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조상의 기제사(忌祭祀)는 4대까지만 봉사하고 5대부터는 혼백을 무덤에 묻고 묘사의 대상으로만 한다. 하지만 불천위는 계속하여 영구히 신위를 사당에 모시고, 기제사는 물론 묘사나 시제(時祭)를 지낸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가문에 따라서는 불천위에 대하여 기제사만 지내기도 한다. 불천위제사는 불천위로 정해진 뒤 3년째부터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제사의 절차는 가문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나 기제사의 절차에 준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불천위제사에는 지방의 유림이나 유지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종손이 주제를 하되 문중뿐만 아니라 유림에서도 제관이 선정된다는 점이 다르다.
또, 문중에 따라서는 후손들이 제관이 되어 사신(辭神)을 하면 유림들이 제사지내는 장소에 들어와 재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불천위와 그에 대한 제사는 국가나 유림, 문중에서 정하는 공훈이 있는 훌륭한 사람에 대한 예우이기 때문에 훌륭한 조상은 살아 있을 때의 지위에 따라 사후에도 특별대우 된다는 구조를 지닌다.
또한, 죽은 이의 생존 시 업적이나 지위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단순한 조상숭배가 아니고 기념되거나 추도된다는 성격을 지닌다. 불천위를 모시고 있는 문중의 입장에서 보면 조정이나 유림에서 봉사할 만한 위대한 선조를 가졌다는 영예가 주어지기 때문에 문중성원들의 단결과 동질감을 강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위세와 우월감을 주기도 한다. 특별한 예로 불천위 종가의 종손과 종부가 사망하면 그 후손들은 누구나 재최 3월복으로 누구나 두건을 쓰는 자격을 갖는 종복제(宗服制)를 따른다. 즉 대수가 10대가 지나고 촌수가 30촌이 되어도 항상 팔촌으로 인정하는 불천위의 상징적 체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불천위가 있는 문중에서는 명조(名祖)를 두었다는 점을 자랑 삼는다. 전국에는 14개의 성씨와 경북 북부지역의 경우 50여 불천위 종가가 있는 곳은 불천위로 배향을 받는 인물이며 종가에서 불천위의 가업을 영예로 알고 계승해 나가며, 후손들도 현조의 덕업을 자긍심으로 여겨 세세손손 이어가는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문화 유산이자 사후 조상을 영구히 모시는 미풍양속인 불천위제례에 대하여 전국의 관련 문중은 물론 관련 문화유산 관련 당국과 함께 이를 전국적으로 일제조사 및 관련 증빙 자료 와 논리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해 세계문화유산(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을 추진할 가치성이 있어 보인다.
작성일:2016-06-09 10:21:38 14.45.175.4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게시물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하단영역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