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는 교육의 도시다. 교육의 도시라는 말을 조금 달리 말하면 교육을 위해 애쓰는 도시다. 학교 구성원들이 교육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는 말이다. 학교 구성원이라고 하면 학생, 학부모, 교사를 말하는데, 영주는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교육을 위해서 애쓰는 도시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어느 도시 못지않게 열심이다.
우리 국민들의 교육열은 어느 나라보다 높은 편이어서 어느 도시든지 교육에 대한 열정이 대단해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지만 영주교육 또한 어디 내놓아도 뒤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기도 하다.
요즘 교육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학생 수의 감소다. 대도시보다는 영주와 같은 중소도시가 훨씬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저 출산부터 시작해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으로 학생 수가 감소하게 되면 학교의 통폐합이 나타나고 교육의 질이 떨어지면서 도시의 역동성이 저하되고 결국은 도시의 존립으로까지 문제가 확대될 수 있다. 그러니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현실을 그냥 당연한 현실이려니 하다 보면 미래에는 많은 문제에 직면할 수가 있고 소멸의 상황까지 대두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무리 고민해도 그 해답은 막막하다. 출산율을 높인다든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인구가 유입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되는데 그것만큼 어려운 일은 없다. 이런 대안들은 지방의 문제라기보다는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이며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을 두고 정책적으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우리가 언급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하겠다.
우리 지역에는 중학교 학생 수에 비해 고등학교가 많다. 영주 봉화 지역의 고등학교들은 일치감치 이런 문제를 예견하고 꾸준히 노력하여 많은 결실을 거두었다. 전국 단위로 모집을 하면서 그 학교만의 특성을 살린 고등학교들이 생겨나 학생 수 감소에 따른 문제에 숨통을 튀어 줌은 물론 전국적인 학교로 거듭나고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특성화대로, 일반고는 일반고대로 각 학교만의 특색을 살리면서 각고의 노력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 지역 특성화 고등학교의 변신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학교들은 전국에서 학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많은 우수한 학생들이 우리 지역 특성화고로 진학하고 있어 교육의 질 향상은 물론 우리 지역의 부족한 학생 수를 보완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산림, 항공, 펫, 조리, 철도 등 나름대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특성 있는 전문인을 교육하고 양성한다는 자부심도 있다. 모든 학교들이 어디에도 뒤지지 않는 학교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고는 일반고대로 각 학교 나름대로의 전통을 이어오면서 경쟁하고 있다. 학교마다 특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학생부 기록을 뒷받침할 수 있는 수업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만들어가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다른 학교에 뒤지지 않기 위해 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계획하여 학생들을 열정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일반고가 이렇게 뼈를 깎는 노력 이면에는 학생이나 학부모가 원하는 대학에 진학시키기 위한 선생님들의 열망이 있다. 우리지역이 대학 진학에서 어느 지역에도 뒤지지 않은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이렇게 우리 지역의 고등학교는 어느 지역 못지않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들은 학교의 속사정을 속속들이는 모르지만 학생들을 위해 애쓰고 노력하는 학교 구성원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격려할 필요가 있다. 생존하고 살아나려면 당연히 그래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방관자적 태도보다는 학교교육에 대한 구성원들의 열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지역 간의 경쟁은 점점 더 심화될 것인데 학생 유치의 어려움을 학교에만 맡기기보다는 지역사회도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