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민신문 독자권익위, “지방소멸 시대, 지역신문이 미래 준비해야”

행정통합·지역축제·수소발전소·청년정주 문제까지 폭넓게 진단 “정체성 있는 보도, 기득권보다 먼저 미래를 이야기하는 신문 돼야”

2025-11-04     이영선 기자

영주시민신문 독자권익위원회(위원장 김성문)가 지난달 30일 오전 11시 30분, 관내 식당에서 2025년 네 번째 정기 회의를 열고 지역 언론의 방향성과 주요 지역 현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성문 위원장을 비롯해 주정례 부위원장, 김신중, 김덕우, 송병권 위원과 오공환 편집국장이 참석해 지방소멸, 행정통합, 지역축제, 청년 주거문제, 수소발전소 보도 방향 등 다양한 이슈를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김성문 위원장은 최근의 보도 흐름에 대해 “매주 다양한 뉴스를 담아 꾸준히 ‘지역신문다운 신문’을 발행하고 있다”며 긍정적인 평가로 포문을 열었다. 특히 오피니언 코너인 ‘배용호의 문화확대경’ 칼럼을 언급하며 “‘뒷방 늙은이와 뒷방 어르신’이라는 제목부터 시선을 끌었고, 어르신 삶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 깊이 있는 내용이었다”고 평가했다.

김신중 위원은 “‘지방소멸 통합 해법’ 같은 기획은 시 차원에서도 쉽게 꺼내지 않는 민감한 주제인데, 지역신문이 선제적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며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을 지역신문이 먼저 꺼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 행정통합과 지역 정체성, “소모적 논쟁이 아닌 방향 설정 필요”

행정통합 문제도 중요한 논의 주제였다. 송병권 위원은 “과거 영풍군과의 행정통합 사례처럼, 마산과 창원도 특례시를 위해 합쳤다”며 “통합은 단순히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명분과 전략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주정례 부위원장은 “봉화와의 통합은 지리적 여건상도 고려할 수 있다. 문제는 지역정체성과 의석 배분 등 현실적인 갈등”이라며 통합 논의의 걸림돌을 짚었다.

김덕우 위원은 “지역 축제의 정체성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며 “실제로 몇몇 집단의 이익 중심으로 움직이다 보니, 농산물 판매장이 풍기로 이동하는 등 중심축이 흔들리고 있다. 축제의 취지부터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공환 편집국장 역시 “영주 축제의 성과와 한계를 짚고, 특히 ‘지역주민의 참여가 없는 축제’라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어느 세대를 타깃으로 할지부터 정해야 하고, 지역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병권 위원은 청년 정주 여건의 열악함을 강조했다. “영주는 전셋집이 아예 없다. 원룸 구하기도 힘들다”며 “청년들이 오고 싶어도 주거 문제로 못 오는 곳이 현재 영주”라고 현실을 직시했다. 위원들은 청년을 유입하기 위해선 일자리 못지않게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주거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 “수소발전소 유치 보도, 단순 투자 규모 홍보보다 심층보도 필요”

회의에서는 수소발전소 관련 보도에 대한 제언도 나왔다. 위원들은 “단순히 ‘1조 2천억 원 투자’라는 숫자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작동되는지, 주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무엇보다 ‘왜 지금 영주인가’에 대한 보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언론이 기술, 경제, 환경적 관점까지 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문 위원장은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지역신문은 더는 단순한 소식지가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플랫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원들은 “시민의 눈과 귀를 대신해 지역행정을 감시하고, 행정이 못 꺼내는 이슈를 먼저 던지는 언론”으로서 영주시민신문의 역할 확대를 주문했다.

오공환 편집국장은 “의미 있는 제안과 따끔한 지적 모두 감사하다. 앞으로도 독자권익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해 시민이 기대하는 지역신문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답했다.

정리 이영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