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직전 지역언론"…미디어바우처법으로 숨통 트이나
국회, 25일 ‘미디어바우처법’ 제정 토론회 연다 지역신문협·지방신문협 공동 주최… 국회의원 8명 힘 보태 지역언론 살리기 법안...국회 차원의 첫 제도 논의
지역언론을 살리기 위한 법안 제정 논의가 본격화된다.
이학영 국회부의장과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을 비롯한 국회의원 8명이 한국지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와 함께 ‘미디어바우처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는 오는 25일 오전 11시,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열린다. 좌장은 박수현 국회의원이 맡는다.
# “지역주민이 직접 양질의 언론 선택”
미디어바우처법은 국민이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사를 직접 선택해 정부가 지급한 바우처로 후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한국지역신문협회(회장 권영석, 봉화신문 대표)와 한국지방신문협회(회장 이동관, 대구매일신문 대표)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고품질 저널리즘을 견인하고 언론 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지역신문협회는 전국 165개 지역주간신문, 지방신문협회는 9개 지방일간지로 구성돼 있다.
토론회에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이자 지역언론 전문가인 이용성 전 한서대 교수가 주제발표를 한다. 김선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유병욱 강원일보 서울본부장, 이영호 군포신문 대표도 토론에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국도 옵저버로 참석한다.
# “풀뿌리 언론, 더 늦기 전에 살려야”
권영석 한국지역신문협회 회장은 “미디어바우처법은 고사 직전의 지역언론에 국회와 정부가 법과 예산으로 숨통을 틔워주는 제도”라며 “독자가 믿는 언론을 직접 선택해 지원하는 시스템을 통해 지역언론과 주민 간 건전한 소통 기반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법안이 발의되고 국회에서 제정돼 조속히 시행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바우처 제도는 지방정부 포함 정부가 국민에게 일정 금액의 지원금을 제공하면, 국민이 이를 믿을 수 있는 언론사에 선택 기부하는 방식이다.
지역, 중소 언론에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지고 중앙 집중 언론구조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주민의 알권리를 높이고 지방자치 발전에도 보탬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