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기획취재]용도 폐기된 공공건축물의 재활용 방안

1990년대 이후 산업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그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된 공공건축물, 산업시설 등이 늘어나고 있다.
비록 수명은 다했지만 공공건축물의 활용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미술관이나 복합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한 공공건축물이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으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지역주민들의 문화욕구 충족 등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일제강점기 은행이 근대건축을 보여주는 전시관으로, 기차역과 병원이 미술관으로, 도살장과 쌀 창고가 문화예술센터로 탈바꿈 한 것이다. 이에 본지는 국내를 비롯해 스페인, 독일, 프랑스 등지에서 용도 폐기된 공공 건축물이 ‘문화’라는 새로운 옷을 갈아입은 모범적 사례를 6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공공건축물의 재활용, 도시가 변한다
-구 영주연초제조창을 중심으로
[2] 국내사례-군산의 랜드마크, 근대문화지구
[3] 국내사례-옛 충남도청사 본관과 장항 미곡창고
[4] 해외사례-스페인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마타데로
아트지구, 프랑스 르 샹카트르
[5] 해외사례-독일영화사와 맥주 양조장의 변신,
그리고 미술관이 된 역사(驛舍)
[6] 종합 제언-용도폐기된 공공건축물의 활용, 이렇게 하라
※ 이 공동기획취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공동기획취재단=경남신문, 경남일보, 광주일보, 전남일보, 전북도민일보, 담양곡성타임즈, 영주시민신문, 홍주신문 이상 8개 신문사

‘보여주기식’이 아니라 ‘주민’ 우선
공간 ‘자생력’과 ‘지속성’ 전제돼야

용도폐기된 공공건축물이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재활용되는 것은 오페라하우스 같은 대형시설보다 지역 주민들의 삶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산업화·도시화에 따라 용도폐기된 건축물들은 도심의 흉물로 방치돼 철거 대상으로 거론되지만 그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를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로 활용되면 도시재생의 중심축 역할을 톡톡히 해 내기도 한다. 낙후된 도심 환경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부족한 문화공간을 확충하는 효과도 매우 크다.

앞서 5차례에 걸쳐 국내와 스페인, 독일, 프랑스 등지에서 용도 폐기된 공공건축물을 이용해 ‘문화’라는 새로운 옷을 갈아입은 모범적인 도시 재생 사례를 살펴봤다. 왜 도시재생을 해야 하고 누구를 위한 도시재생인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재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모범답안은 아닐지라도 어느 정도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좋은 사례임에는 틀림없다.

◇도시재생, 사회적 가치 더 중요=

지자체가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할 때 일부 시민들의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전북 군산시가 근대 건축물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할 당시 “일제 때 지은 건물인데 왜 헐지 않는가?”라는 반대의견에 부딪힌 것이 대표적 사례다.

실제로 당시 우리나라에서는 옛 조선총독부로 쓰였던 건물이 ‘일제잔재 청산’이라는 구호 아래 헐리면서 전국 여러 곳에서 비슷한 철거작업이 이뤄졌던 것도 역사적 사실이다.

그러나 도시전체가 박물관인 파리시의 도시계획 정책을 들어보면 건물의 재활용이나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은 우리와 사뭇 다르다.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도 많다.

“도시디자인 측면에서 낡은 공공건축물을 헐고 새로 짓는 게 더 효율적이지 않는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프랑스 파리시도시계획 연구소(APUR·Atelier Parisien D’Urbanisme) 크리스티앙 블랑코 도시설계프로젝트 디렉터(건축가)는 “돈이 더 들더라도 재개발(도시재생)은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를 더 중요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거주하는 시민들은 지역 정체성을 가진 옛 공공 건축물과 굉장히 정서적으로 밀착돼 있다. 그래서 옛 건물을 부수고 새로 지으려고 하면 ‘그냥 쓰면 되는데’하고 정서적으로 반발한다. 특히 ‘파리지앵(파리시민)’들은 그런 것에 민감하다”고 덧붙였다.

파리도 우리나라 처럼 1960〜1970년대 개발과정에서 폐산업시설과 버려진 역사(驛舍)가 많이 사라졌다고 한다. 이에 대한 반발로 반대여론이 형성돼 건축가 중심으로 폐건축물 활용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됐다.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임기(1981〜1995년) 동안 오르세 역 등을 활용하는 사업이 국가적인 정책으로 제시되고 진행됐다. 이어 베르트랑 들라노에 파리시장(2001〜2014년)이 파리시 전체를 리노베이션하는 새로운 도시디자인을 계획하면서 두 번째 (도시재생) 도약 단계를 맞았다.

한때 도축장이었던 스페인 마드리드 마타데로를 찾고있는 지역주민들
한때 도축장이었던 스페인 마드리드 마타데로를 찾고있는 지역주민들

◇옛 것과 새 것 조화시켜야=

용도 폐기된 공공 건축물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벌이고자 할 때 제일 먼저 부딪치는 문제는 건물을 원형대로 복원해야 할지, 아니면 어디까지를 살려 리모델링을 해야할지의 여부이다.

그런 면에서 스페인 마드리드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은 새로운 전형을 보여준다. 과거 병원으로 사용되다 미술관으로 변신한 이 건물은 ‘옛 것’과 ‘새 것’을 조화시켰다. 1780년대 지어진 석조(石造) 종합병원 구관에 2005년 강철과 알루미늄, 유리 등 현대식 소재를 사용한 신관을 추가로 덧붙였다.

건물 외벽에는 유리로 된 엘리베이터까지 돌출되게 설치했다. 스페인 전통적 건물과 21세기 현대적 건물이 전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어우러진다. 더욱이 ㅁ자 형으로 된 건물 중정(中庭)에는 초록빛깔 나무들이 울창하다. 유럽의 용도 폐기된 공공건축물은 한국 사정과 너무 다르다. 일단 ‘레이나 소피아 국립 미술관’과 ‘오르세 미술관’ 등 종합병원이나 기차역으로 당초 설계됐던 유럽 건축물은 시야를 압도할만큼 거대하고 견고하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행정기관이나 은행을 제외하면 1950〜1960년대 지어진 건축물은 대부분 시멘트 벽돌이나 콘크리트 소재로 돼 있는 우리와 대조적이다.

◇주민 생활 속에 녹아든 옛 건축물=

전국 각 지자체에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할 때 재원 마련이 급선무다. 많은 도시재생 사업이 정부나 지자체, 관(官) 주도로 진행되는 한국에서는 국비와 시·군비 5:5 비율로 재원을 마련한다. 근대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계획한 후 공모사업에 참여해 사업비를 확보하는 수순을 밟는다.

유럽 3개국 도시재생 성공사례를 돌아보며 우선 국가차원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각 도시의 도시재생 사업이 함께 진행된다는 점이 이채로웠다. 독일 연방정부는 동독과 서독지역을 대상으로 ‘도시 개조사업(Stadttumbau)’을 진행했고, 프랑스는 ‘국가도시 재생청(ANRU)’을 설립하고 ‘국가도시 재생프로그램(PNRU)’을 시행했다.

스페인 빌바오시의 경우 1992년에 공기업 형태의 ‘빌바오리아 2000’을 창설해 순차적으로 도시를 개조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우파 파브릭’처럼 자생력을 갖거나 ‘르 샹카트르(104)-파리’, ‘프롬나드 플랑테’와 같이 주민 생활 속에 녹아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보여주기식’이 아니라 ‘주민’을 우선시했다.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 공간의 ‘자생력’과 ‘지속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의미다. 벽화마을 만들기처럼 타 지역의 사례를 그대로 베끼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 자신만의 색깔을 보여 줘야 한다.

비록 용도를 잃었지만 지역에 오래 자리 잡았던 공공 건축물은 지역공동체의 정체성과 역사, 이야기, 철학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적인 가치를 제대로 살려내는 도시재생 프로그램만이 쇠락한 원도심내 용도폐기된 공공 건축물을 지속가능한 장소로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것이 이번 기획취재의 가장 큰 교훈이다. 

<사진설명>

한때 도축장이었던 스페인 마드리드 마타데로를 찾고있는 지역주민들
우파 파브릭 내 공원에서 놀고 있는 어린이들
레이나 소피아 미술관 내부 휴게 공간
샹카르트 유리 파편 작품

[미니인터뷰]“프로젝트가 중요한 게 아니라 구체적인 활용계획이 중요하다”

크리스티앙 블랑코 APUR 디렉터

APUR(Atelier Parisien D’Urbanisme·파리도시계획연구소)은 1967년 파리시의회에서 설립한 독립된 도시계획 연구 기관이다. 올해로 꼭 50주년을 맞은 이 기관은 설립된 이후 일관된 도시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폐선된 고가철로를 이용한 공중 산책로인 ‘프롬나드 플랑테’와 ‘세느강변길 되찾기 프로젝트’, 도축장이던 ‘라 빌레뜨’ 리노베이션 등이 이곳 연구자들의 머릿속에서 나와 실제 실행된 대형프로젝트이다.

APUR의 도시계획 연구 전반을 총괄하고 있는 크리스티앙씨는 “도시재생의 성공은 그 지역의 구성원인 시민의 공감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1960~70년대 파리에는 사용되지 않는 공공기관 등 버려진 건축물들이 많아 부수고 새로 짓는 개발행위도 많았다”며 “오래된 역사와 창고 등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시민들의 반대 여론이 일었다”고 말했다.

이후 사라지는 건축물에 대해 지역사회에서 토론이 활발하게 벌어졌고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고 한다.

크리스티앙씨는 “그 무렵 APUR이 설립됐고 프로젝트 공모를 많이 했다”며 “기존 시설을 없애고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국제적인 공모 프로젝트도 했다”고 말했다.

크리스티앙씨가 말한 건축물 재활용의 핵심은 ‘있는 그대로의 공간을 개방하는 것’이다. 그는 “증축이나 개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공간으로 누가 활용할 것인지에 중점을 둬 프로젝트를 발전시켜 나갔다”며 “그 지역의 정체성과 주민들의 정서도 반영했다”고 말했다.

특히 크리스티앙씨는 도시재생을 추진 중인 한국의 지자체에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구체적인 활용계획이 나와야 실패할 확률이 적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오공환 기자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