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에 이르러 병을 얻어 푸실 밭집에서 묵다’
19살 영주 의원서 공부, 21살 영주로 장가들어
풍기군수 때 소수서원 사액은 퇴계의 큰 업적

▲이산서원 경지당

▲ 퇴계와 영주의 인연  

영주사람들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은 도산 사람이지만 주요 활동무대는 영주였다”고 말한다. 퇴계와 영주의 인연은 청년 때 영주 의원에서 공부를 했다는 이야기로부터 시작하여 영주 초곡(사일)으로 장가들고 풍기군수로 부임하고, 소수서원을 사액서원으로 만들고 이산서원 건립에 직접 참여하는 등 곳곳에 많은 흔적을 남겼다.

퇴계가 공부한 제민루

▲ 영주 제민루에서 공부

퇴계가 공부를 시작한 것은 6세 때 이웃 노인에게 천자문을 배우고, 12세에 숙부 송재(松齋) 이우에게 논어를 배웠다고 한다.

그 후 19세에 영주의 의원(醫院)에 와서 공부를 했다고 한다. 이 때 퇴계가 공부했다는 영주의 의원은 지금 제민루(濟民樓)로 추정된다. 제민루는 원래 구성산 남쪽 자락에 있던 의국(醫局)으로 오늘날로 치면 보건소와 같은 의료기관이었다.

청년 퇴계가 영주에 와서 의원 공부를 했다는 것은 퇴계가가 영주의 양반가와 연인접족(連姻接族)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여 진다.

또 몸이 약한 퇴계가 70수까지 누릴 수 있었던 것은 일찍 영주에서 의학공부를 한 것이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후학들은 보고 있다. 그 후 퇴계는 손자 안도(安道)를 영주로 보내 의학 강습(講習)을 받게 했다는 기록도 전하고 있다.

영주 초곡으로 장가든 퇴계는 21살이 되던 1521년 영주 초곡(草谷,푸실)에 사는 허찬(許瓚, 1481-1535)의 맏딸 동갑내기 허씨 낭자에게 장가를 들었다. 당시는 연애로 만난 게 아니고 가문과 가문 사이의 교분으로 혼사가 이루어졌다. 퇴계의 처 외조부인 문경동은 딸만 둘 두었는데, 허찬은 그의 맏사위로 경남 의령에서 초곡으로 옮겨와 살면서 처부모를 봉양했다.

허찬이 문경동의 사위가 된 것은 허찬의 아버지(허원보)와 문경동의 교분 때문이었으며, 퇴계가 문경동의 외손녀사위가 된 것 또한 문경동과 퇴계의 숙부인 이우와의 친분 때문이다. 문경동은 가세가 부유했다. 이에 퇴계가 처가에서 공부하면서 대학자로 성장하는데 경제적 밑받침이 되었던 것이다.

허씨 부인은 1522년 맏아들 준(寯)을 출생하고, 1527년 차남 채(寀)를 낳은지 한달만에 산독을 풀지 못하고 향년 27세로 세상을 떠났다.

부인은 당시의 풍속대로 7년동안 친정집 초곡에서 살았으며, 죽어서는 외할아버지(문경동) 묘소(이산면 신암리) 옆에 묻혔다. 퇴계 선생이 남긴 시 중에 초곡(草谷)이 나온다.

퇴계는 자주 처가마을 초곡에 들렀는데 초곡(草谷)에 대한 시 한 구절을 보면 다음과 같다.

「以事當還都至榮川 病發輟行草谷田舍(이사당환도지영천 병발철행초곡전사)」 “일이 있어 곧 서울로 돌아갈제 영천(榮川)에 이르러 병을 얻어 푸실(草谷) 밭집에서 묵다”라고 썼다.

퇴계의 처갓집 인맥퇴계의 처 외조부인 문경동의 맏사위는 허찬(퇴계의 장인)이고, 둘째 딸은 인동장씨 영주입향조 장응신(張應臣)에게 출가시켰다. 퇴계의 제자이자 문인인 과재(果齋) 장수희(張壽禧, 장응신의 아들)는 퇴계의 처이종이 된다. 선성김씨 김사문(金士文)은 장응신의 사위로 퇴계와는 처서종동서이다. 따라서 김사문의 아들 백암 김륵은 퇴계의 처재종질이 된다.

퇴계의 처남인 허사렴도 딸만 둘 두었는데 소고 박승임의 맏아들 박록을 사위로 맞았다. 또 고창오씨 영주 입향조 죽유 오운은 퇴계의 종자형 오언의의 손자이자 허사렴의 사위로서 초년과 만년에 영주의 초곡에서 살았다.

초곡 사람들은 “퇴계 선생의 처갓집 새초방(新初房)이 고택으로 남아 있었는데 1965년 경북선 철도공사로 헐렸다”며 “귀한 유적을 보존하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옛 풍기관아(100년전)

▲ 풍기군수로 부임

신재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을 창건하고 떠난 뒤 1548년(명종 3) 풍기군수로 부임한 퇴계는 1549년 서원의 사액(賜額.액자)과 국가의 지원을 요청하는 상소문을 경상감사에게 올린다. 1550년(명종 5)에 사서오경(四書五經), 성리대전(性理大全) 등 내사본(內賜本)과 명종의 어필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을 하사받아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이 됐다.

사액이란 ‘국가가 교육기관 설립을 인정하고 지원을 약속하는 인증서’와 같은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후에도 퇴계는 자주 서원의 유생과 풍기군수, 영천군수 등에게 글을 보내 소수서원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가졌다. 이로써 소수서원은 퇴계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공인된 사학기관의 효시가 되어 서원발달에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된다. 소수서원의 사액은 풍기군수 퇴계 이황의 가장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이산서원 경지당

▲ 인성교육의 요람 이산서원

이산서원은 1554년(명종 9) 영천군수로 부임한 안상(安상)이 1959년 군의 동쪽 번고개(현 남간재 남쪽)에 세운 서원이다. 이 서원은 퇴계가 생존 시 건립된 서원으로 그의 교육철학이 모두 반영된 곳이라는 점에 주목받았다.

서원을 건립한 후 퇴계는 원규(院規)와 기(記)을 짓고 건물의 명칭 등을 지었다. 강당을 경지당(敬止堂), 동재를 성정재(誠正齋), 서재를 진수재(進修齋), 정문을 지도문(志道門), 대를 관물대(觀物臺)라고 각각 이름 하였다.

이산서원은 처음에는 사당이 없이 강학을 위한 기구로만 설치되었는데 이황이 세상을 떠나자 1572년(선조 5)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당을 세우고 위패를 봉안하면서 제사의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1574년에 ‘이산(伊山)’이라고 사액되었다. 당시 이산서원은 인성교육의 요람으로 전국 서원의 시범이 되었으며, 원규와 교수법을 배우러 오는 전국의 유생들로 북적였다고 한다.

퇴계

 

▲ 죽령에 남긴 퇴계의 눈물

1549년 9월 충청감사 온계와 풍기군수 퇴계는 각각 휴가를 얻어 고향에 왔다. 고향에서 휴가를 보낸 두 사람은 풍기관아에서 3일을 묵고 다음날 이별을 고한다.

이날 형제는 죽령 촉령대에서 이별하면서 퇴계는 “명년(明年)에 제가 다시 여기 와서 술잔을 올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다짐한다. 하지만 이것이 퇴계와 온계의 마지막 이별이었다. 온계는 다음해 이기 무리들의 무고로 갑산으로 귀양 가던 중에 양주에서 병사한다. 지금도 죽령옛길 촉령대에는 퇴계의 눈물이 남아 있는 듯하다.

이원식 시민기자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